[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9.도면화
등록일시: 2020. 6. 16.
Revit MEP 도면화 프로세스: 핵심 요약 및 상세 분석
핵심 요약
본 문서는 Autodesk Revit MEP를 활용한 최종 도면화 작업의 핵심 프로세스를 요약 및 분석한다. 모델링 완료 후, 도면 시트를 생성하고, 다양한 뷰(평면, 3D 등)를 배치하며, 각 회사의 표준에 맞는 맞춤형 제목 블록(Title Block)을 제작하는 전 과정을 다룬다. 핵심은 CAD 파일을 Revit 패밀리로 변환하여 효율적이고 자동화된 도면을 생성하는 기술에 있다. 특히, 고정된 정보를 표현하는 '문자(Text)'와 프로젝트 데이터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는 '레이블(Label)'의 기능적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는 단순한 뷰 배치에서 나아가, 데이터가 연동되는 지능적인 도면을 생성할 수 있다.
주요 시사점:
- 시트 작성: Revit의 도면화는 '시트(Sheet)'라는 가상 도면에 모델 뷰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뷰 편집 및 제어: 시트에 배치된 뷰는 축척 조정, 위치 이동, 제목 줄 길이 변경 등이 가능하며, 뷰를 활성화하여 태그 크기와 같은 내부 요소도 직접 수정할 수 있다.
- 맞춤형 제목 블록 제작: 기존 CAD 도면을 Revit으로 가져와 스케일을 조정한 후, 선, 문자, 레이블 등 Revit의 기본 요소로 변환하여 회사 고유의 제목 블록을 제작할 수 있다.
- 자동화의 핵심 '레이블': '레이블' 기능은 시트 번호, 축척 등과 같은 가변 정보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여 도면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수작업 오류를 줄이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원본영상: https://youtu.be/JjjTugmJMmw?si=qCK6EadeaOeMgMCg
이전 영상(08) |
1. Revit 시트의 기본 개념 및 생성
Revit에서의 '도면화'는 모델링이 완료된 후 최종 결과물을 정리하는 과정으로, '시트(Sheet)'를 생성하고 그 위에 필요한 뷰들을 배치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 시트 생성 방법:
- 프로젝트 탐색기(Project Browser) 활용: 탐색기 내 '시트(Sheets)' 항목에서 마우스 우클릭 후 '새 시트(New Sheet)'를 선택한다.
- 뷰 탭(View Tab) 활용: 상단 리본 메뉴의 '뷰' 탭 → '시트 구성(Sheet Composition)' 패널에서 '시트' 아이콘을 클릭한다.
- 초기 시트 로드: 새 시트 생성 시, Revit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A0 Metric'과 같은 샘플 제목 블록을 선택하여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2. 표준 템플릿을 활용한 뷰 배치 및 수정
시트가 생성되면 프로젝트 탐색기에 있는 평면도, 3D 뷰 등을 시트 위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하여 간단하게 배치할 수 있다. 배치된 뷰는 도면의 가독성과 명확성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수정 및 조정이 필요하다.
뷰 수정 및 조정 기법
- 축척 변경 (Changing Scale):
- 배치된 뷰가 제목 블록보다 크거나 작을 경우, 해당 뷰포트(Viewport)를 선택한다.
- '특성(Properties)' 창에서 '뷰 축척(View Scale)' 값을 조정한다. (예: 1:50 → 1:100으로 변경하여 뷰 크기 축소)
- 뷰포트 및 제목 줄 정리 (Adjusting the Viewport and Title Line):
- 뷰포트를 드래그하여 시트 내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 뷰 하단에 생성되는 제목 줄(Title Line)을 선택하면 양 끝에 조절점이 나타나며, 이를 드래그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 뷰 내부 요소 편집 (Editing Elements Within the View):
- 뷰 활성화: 시트 위의 뷰포트를 더블 클릭하면 해당 뷰가 활성화되어 내부 요소를 직접 수정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 태그 패밀리 수정: 축척 변경으로 인해 디퓨저 태그 등의 글씨가 너무 커 보일 경우, 해당 태그를 선택하고 '패밀리 편집'에 들어간다.
- 유형 편집에서 '복제'를 통해 새 유형(예: 1.5mm)을 만든다.
- '문자 크기'를 원하는 값(예: 1.5)으로 수정한다.
- '프로젝트에 로드'하여 기존 패밀리를 덮어쓴다.
- 다중 요소 선택 및 이동: 크기가 변경되어 위치가 어긋난 태그들은 하나의 요소를 선택한 후 단축키 SA (Select All Instances)를 눌러 동일한 유형의 모든 요소를 한 번에 선택하고, 적절한 위치로 일괄 이동시킬 수 있다.
- 뷰 비활성화: 수정이 완료되면 뷰포트 밖에서 마우스 우클릭 후 '뷰 비활성화(Deactivate View)'를 선택하여 편집 상태를 종료한다.
3. 사용자 맞춤형 제목 블록(Title Block) 제작
실무에서는 Autodesk에서 제공하는 샘플이 아닌, 각 회사의 표준 양식이 적용된 제목 블록이 필요하다. Revit은 기존의 CAD 도면을 활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제목 블록을 효율적으로 제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작 프로세스
- 새 패밀리 시작:
- Revit 홈 화면에서 '모델'이 아닌 '패밀리(Families)' 섹션의 '새로 만들기'를 클릭한다.
- 템플릿 파일 중 '제목 블록(Title Blocks)' 폴더에서 원하는 용지 크기(예: A0 metric.rft)를 선택한다.
- CAD 도면 가져오기 및 스케일 조정:
- '삽입(Insert)' 탭에서 'CAD 가져오기(Import CAD)'를 실행하여 준비된 회사 도곽 CAD 파일을 불러온다. (옵션: 색상 유지, 위치는 '중심 대 중심')
- 불러온 CAD 객체의 크기가 맞지 않을 경우, '수정(Modify)' 탭의 '축척(Scale)' 기능을 사용한다.
- CAD 객체의 기준점(예: 왼쪽 하단 모서리)을 클릭한다.
- CAD 객체의 참조점(예: 오른쪽 하단 모서리)을 클릭한다.
- Revit 제목 블록 템플릿의 목표점(예: 템플릿의 오른쪽 하단 모서리)을 클릭하여 크기를 정확하게 맞춘다.
- Revit 요소로 변환:
- 가져온 CAD 파일은 참조용일 뿐이며, Revit에서 인식 가능한 객체로 다시 그려주어야 한다.
- 선(Line): '작성(Create)' 탭의 '선' 명령을 실행하고, 그리기 옵션 중 '선 선택(Pick Lines)'을 사용하여 CAD 도면의 모든 선을 클릭하여 Revit 선으로 변환한다.
- 고정 텍스트와 가변 텍스트: 제목 블록의 텍스트는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구분 | Revit 기능 | 설명 | 예시 |
고정 텍스트 | 문자(Text) | 시트마다 내용이 변경되지 않는 고정된 정보. | 회사 로고, 'REVISION', 'SCALE' 등 항목의 이름 |
가변 텍스트 | 레이블(Label) | 시트 번호, 도면명, 축척 등 프로젝트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는 정보. | 시트 번호(A-101), 축척 값(1:100) 등 |
* **레이블 생성:** '작성' 탭에서 '레이블'을 클릭하고 원하는 위치에 배치한 후, '매개변수 편집' 창에서 필요한 매개변수(예: 시트 번호, 축척)를 선택하여 추가한다. 샘플 값이 표시되며, 이 값은 실제 프로젝트에서 자동으로 변경된다.
- 마무리 작업:
- 모든 선, 문자, 레이블 변환이 끝나면, 원본 CAD 파일을 삭제한다. (마우스 커서를 객체 위에 두고 Tab 키를 눌러 CAD 가져오기 인스턴스 전체를 선택한 후 Delete 키로 삭제)
- 완성된 제목 블록 패밀리를 저장한 후 '프로젝트에 로드(Load into Project)'를 실행한다.
4. 맞춤형 시트 활용 및 자동화 기능
프로젝트에 로드된 맞춤형 제목 블록은 새 시트를 생성할 때 목록에서 선택하여 즉시 사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레이블 기능의 강력한 자동화 성능이 드러난다.
- 자동 업데이트:
- 새로운 맞춤형 시트를 생성하면 '시트 번호' 레이블에 A-105와 같은 번호가 자동으로 부여된다.
- 프로젝트 탐색기에서 해당 시트의 이름을 변경하면(예: SCK-2108), 제목 블록의 시트 번호 레이블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다.
- 해당 시트에 특정 축척을 가진 평면도를 배치하면, 제목 블록 내 '축척' 레이블에 해당 뷰의 축척 값(예: 1:100)이 자동으로 입력된다.
이처럼 레이블과 문자를 명확히 구분하여 제목 블록을 제작하면, 도면화 과정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04.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 Piping 모델링
Pipng 모델링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수평/입상 파이프 모델링과 오토라우팅을 적용해보고, 위생기구와 파이프를 연결하여 밸브를 삽입하는 방법과 이를 수정하는 기능에 대해 알아봅니다.
만약 본 내용 중 저작권 등과 관련하여 문제가 있을 경우, 알려주시면 신속하게 수정·삭제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NotebookLM을 이용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디이씨(D.E.C)
martin@dec-w.com
'BIM_무료(교육)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8.수량 산출 (0) | 2025.10.10 |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7.치수 문자 태그 삽입 (0) | 2025.10.10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6.건축/구조 모델링 링크 (0) | 2025.10.10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5.Electrical 모델링 (0) | 2025.10.10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4.Piping 모델링 (0) | 2025.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