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자료: https://acadec.tistory.com/180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5.Electrical 모델링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5.Electrical 모델링등록일시: 2020. 5. 12.Revit MEP 전기 모델링 핵심 요약 Executive Summary이 문서는 Revit MEP를 활용한 전기 분야 모델링의 핵심 개념과 절차를 요약한다. 전기
info.dec-w.com
요약영상: https://youtu.be/KLsdfIuka0o
이전 영상(04) | 다음 영상(06) |
AI 오디오(심층 분석):
안녕하세요! Revit MEP 왕초보 탈출을 위한 다섯 번째 시간이에요. HVAC, 배관을 거쳐 드디어 전기 모델링(Electrical Modeling) 차례가 되었네요. 혹시 전기 작업은 너무 복잡하고 어려울 것 같아서 벌써부터 겁을 먹으셨나요? 솔직히 저도 처음에 그랬어요. 하지만 막상 해보면, Revit의 강력한 기능 덕분에 생각보다 쉽고 재미있답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초보자도 헤매지 않고 따라 할 수 있도록, **레빗 MEP에서 전기 모델링을 시작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과정**을 단계별로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기본적인 배선 기구를 배치하는 방법부터, 기기들을 제어반(Panel)에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까지, 실무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꿀팁들만 모았습니다!
STEP 1. Electrical 모델링 시작하기 전 준비 사항 📌
모델링을 시작하기 전에 몇 가지 중요한 개념과 설정을 확인해야 해요. Revit MEP에서 전기는 단순히 도면을 그리는 게 아니라, **실제 전기 시스템처럼 기능하도록** 모델링하는 것이 핵심이거든요.
레빗의 전기 요소는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어요. 시스템 패밀리 (예: Conduit, Cable Tray)와 로드 가능한 패밀리 (예: 배선 기구, 조명 기구, 패널)로 나뉘죠. 로드 가능한 패밀리는 프로젝트에 삽입하기 전에 미리 로드해야 합니다!
✅ 모델 설정 및 뷰 확인
- 패밀리 로드: 필요한 조명, 스위치, 콘센트 등의 전기 장치 패밀리를 미리 로드해 두세요.
- 레벨 및 뷰 설정: 작업할 층의 평면 뷰(Plan View)를 활성화하고, 작업 영역의 레벨과 범위가 올바른지 확인합니다.
STEP 2. 배선 기구 배치와 시스템 분류 🔌
이제 실제로 장치를 배치해 볼 시간이에요. 전기 장치(Electrical Equipment)와 조명(Lighting Fixture)을 배치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중요한 건 **장치를 배치한 후 시스템을 정확하게 분류**하는 거예요.
1. 장치 배치 및 특성 설정
- **장치 선택:** '시스템(Systems)' 탭에서 '전기 장치(Electrical Equipment)' 또는 '조명(Lighting Fixture)'을 선택합니다.
- **높이 설정:** 배치 전에 특성 창(Properties)에서 설치 높이(Elevation)를 꼭 확인하고 입력하세요. 예를 들어, 콘센트는 바닥에서 400mm, 스위치는 1200mm 같은 표준 높이가 있겠죠.
- **패널 배치:** 전체 전기 시스템의 중심이 될 **전력 분전반 (Panelboard)**을 먼저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장치에 전력 로드 할당 (커넥터 확인)
배치된 각 장치(조명, 콘센트 등)는 기본적으로 **전력 부하(Power Load)**를 가지고 있어요. 이 부하 정보가 정확해야 나중에 회로 계산이 제대로 되겠죠? 장치를 선택하고 특성 창에서 로드 정보(예: Voltage, Apparent Load)를 한 번 확인해 보세요.
STEP 3. 장치들을 제어반(Panel)에 회로 연결하기 🔄
전기 모델링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회로 연결 단계입니다. 아무리 많은 장치를 배치해도 패널에 연결하지 않으면 그냥 그림일 뿐이에요.
- 전기 회로 생성: 패널에 연결할 장치들 (예: 한 회로의 조명 기구 10개)을 모두 선택합니다.
- 'Power' 버튼 클릭: 리본 메뉴의 '수정 | 조명 기구(Modify | Lighting Fixtures)' 탭에서 'Power' (전원) 버튼을 클릭합니다.
- 패널 선택: 옵션 막대 또는 '수정' 탭에서 '패널 선택(Select Panel)'을 클릭한 뒤, 미리 배치해 둔 **분전반 패밀리**를 클릭하여 지정해 줍니다.
- 회로 확인: 이 과정을 거치면 선택한 장치들이 하나의 회로로 묶여 해당 패널에 연결됩니다. 패널을 선택하여 스케줄(Schedule) 또는 패널 부하(Panel Load) 정보를 열어보세요. 연결된 회로가 보일 거예요!
회로 구성 예시 📝
- 거실 조명 회로: 거실의 조명 기구 8개를 선택 → 'Power' 클릭 → 패널 'PP-L1' 선택
- 주방 콘센트 회로: 주방 벽면 콘센트 4개를 선택 → 'Power' 클릭 → 패널 'PP-P1' 선택
이렇게 나누면 각 회로별 부하 계산과 관리가 훨씬 쉬워진답니다!
STEP 4. 배선(Wire) 및 전선관(Conduit) 모델링 🚧
장치와 패널을 연결했다면, 이제 이 연결을 시각적으로 표현해야겠죠? 전기 모델링에서는 **배선(Wire)**과 **전선관(Conduit)**을 활용합니다.
구분 | Revit 요소 | 특징 및 역할 |
---|---|---|
**배선** | Wire | 회로의 연결 상태를 2D 심볼로 표현. 실제 3D 모델링은 아니며 도면 표기용. |
**전선관** | Conduit | 실제 배관처럼 3D로 모델링. 간섭 체크(Clash Detection) 시 중요. |
와이어링 (Wiring) 방법
회로가 연결된 상태에서 장치를 선택하면 '와이어(Wire)' 옵션이 뜹니다. Arc(호) 또는 Bevel(경사) 스타일로 빠르게 2D 배선을 그려주면 됩니다. 이건 시각적인 표현이라 실제 부하 계산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요. 정말 간단하죠?
와이어는 2D 도면 표현용, 전선관은 3D 간섭 검토용입니다. 실제 시공 상세도를 만들 때는 전선관 모델링이 필수예요! 특히, 천장 속 설비 간의 간섭을 체크할 때 전선관 모델이 정확해야 합니다.
레빗 Electrical 모델링 핵심 요약 📝
지금까지 설명드린 내용을 한눈에 정리해볼까요? 이 4단계만 기억하시면 전기 모델링, 어렵지 않아요!
- 패밀리 로드 및 배치: 조명, 콘센트, 스위치 등 필요한 장치를 레벨에 맞춰 배치하고, 분전반(패널)을 반드시 설치!
- 전력 로드 확인: 장치들의 전압(Voltage), 부하(Apparent Load) 정보가 정확한지 특성 창에서 체크!
- 회로 연결: 같은 회로로 묶일 장치들을 선택하고 'Power' 명령을 이용해 패널에 연결!
- 시각화: 2D 도면을 위해 'Wire' 명령으로 배선을 표시하고, 3D 간섭 체크를 위해 필요하다면 'Conduit'로 전선관을 모델링!
레빗 Electrical 모델링 성공 공식
자주 묻는 질문 ❓
자, 이렇게 Revit MEP의 핵심인 전기 모델링까지 마스터해봤어요! 전기 모델링은 눈에 보이는 배관이나 덕트 모델링보다 '정보의 연결'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패밀리 배치부터 회로 연결, 패널 지정까지, 이 단계를 차근차근 따라 해보셨다면 이제 여러분은 왕초보를 벗어난 거나 다름없어요!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
다음 시간에는 이 모델들을 활용해서 도면을 만들거나, 모델을 정리하는 꿀팁을 가져올게요! 혹시 따라 하다가 막히는 부분이나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물어봐 주세요~ 📝
Google Gemini을 이용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디이씨(D.E.C)
martin@dec-w.com
'BIM_무료(교육)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7.치수/문자/태그 완벽 마스터 가이드 (0) | 2025.10.12 |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6.건축/구조 모델 완벽하게 링크하는 4단계 가이드 (0) | 2025.10.12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4.Revit MEP 배관 모델링 핵심 4단계 마스터하기 (0) | 2025.10.12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3.Revit HVAC 모델링 실전 테크닉 (1) | 2025.10.12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2.Revit MEP 환경 설정 핵심 3단계 (0) | 2025.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