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t MEP 웨비나]03_Revit MEP! Analysis 기능까지 활용하기!
Revit MEP 분석 기능 활용 웨비나: 주요 내용 요약
Executive Summary
본 문서는 오토데스크코리아 유튜브 채널의 "[Revit MEP 웨비나] Revit MEP! Analysis 기능까지 활용하기!"에서 다룬 핵심 내용을 종합적으로 요약 및 분석한다. 웨비나는 Revit MEP의 고급 분석 기능을 활용하여 에너지 효율적인 설계를 달성하는 세 가지 주요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루었다.
첫째, Revit의 내장 기능을 이용한 냉난방 부하 분석으로, 건축 모델을 기반으로 공간과 구역(Zone)을 설정하고 ASHRAE 표준에 따라 정확한 부하 보고서를 생성하는 전 과정을 상세히 설명했다. 둘째, Revit 애드인 ElumTools를 활용한 조도 분석으로, Revit의 기본 기능을 넘어서는 정밀한 점 단위(point-by-point) 조도 계산과 시각적 분석 방법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AEC 컬렉션에 포함된 Insight를 활용한 건물 성능 분석을 통해, 설계 초기 단계(개념 매스 모델)에서 다양한 설계 변수가 에너지 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신속하게 시뮬레이션하고 최적의 대안을 찾는 방법을 시연했다.
이 세 가지 분석 기능은 BIM 데이터를 단순한 3D 모델링을 넘어,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성능 평가 도구로 확장시키는 핵심적인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설계자는 국내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와 같은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친환경 건축물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강력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영상 등록일시: 2020. 6. 23.
원본영상: https://youtu.be/v8U3GmqO6oU?si=lGd1h2Zb_E7Rvs2P
1. Revit MEP을 이용한 냉난방 부하 분석
하니 세라 대리가 발표한 첫 번째 세션은 Revit의 핵심 분석 기능인 냉난방 부하 계산 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다루었다.
1.1. 분석의 필요성
에너지 절감은 현대 건축의 핵심 과제이다. 특히 2015년 파리 기후 변화 협약에 따라 대한민국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37% 감축해야 하는 의무가 있으며, 이는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성 증대가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Revit의 부하 분석 기능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한다.
1.2. 분석 프로세스 (6단계)
정확한 부하 보고서를 생성하기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은 6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 건축 모델 링크
- 기계(MEP) 템플릿을 연 후, 분석의 기반이 될 건축 모델을 링크한다.
- 핵심 설정: 링크된 건축 모델의 '유형 편집' 창에서 '룸 경계(Room Bounding)' 옵션을 반드시 활성화해야 한다. 이 설정을 통해 Revit이 건축 요소(벽, 바닥 등)를 공간(Space)의 경계로 자동 인식할 수 있게 된다.
2단계: 공간(Space) 설정
- 해석(Analyze) 탭의 '공간(Space)' 도구를 사용하여 각 실의 공간을 정의한다. '룸 경계'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룸 정보를 기반으로 공간이 자동으로 배치되어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 '룸(Room)'과 '공간(Space)'의 차이: 두 요소는 명확히 구분된다.
구분 | 룸 (Room) | 공간 (Space) |
카테고리 | 건축 요소 (Architecture 탭) | MEP 요소 (Analyze 탭) |
주요 목적 | 점유 영역 정보, 면적 계산 | 체적(볼륨) 해석, 에너지 분석 |
차원 | 2D 개념 (면적 중심) | 3D 개념 (높이 값을 포함한 체적 중심) |
특성 정보 | 건축 관련 정보 (마감, 면적 등) | 해석 관련 정보 (에너지 해석, 부하 데이터 등) |
면적 계산 기준 | 벽 마감 또는 벽 중심선 선택 가능 | 벽 마감에서만 계산 가능 |
- 공간 높이 자동 인식: 공간은 천장이 있는 경우 천장 하부까지, 천장이 없는 경우 상부층 슬래브 하부까지 높이를 자동으로 인식한다. 단, 천장에 개구부(오프닝)가 있으면 상부층까지 인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해석을 위해 건축 모델에서 해당 부분을 마감 처리해야 한다.
3단계: 공간 수정 및 편집
- 자동으로 생성된 공간들을 검토하고 수동으로 수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 계단실 등 수직 공간: 여러 층에 걸쳐 뚫려 있는 계단실 같은 공간은 층별로 분리된 공간을 삭제하고 하나의 긴 공간으로 통합해야 한다.
- 불필요한 공간 삭제: 시스템 탐색기(System Browser)와 공간 일람표를 활용하여 면적이 0이거나 매우 작은 자투리 공간, 또는 냉난방이 필요 없는 파이프 샤프트(Pipe Shaft) 같은 공간들을 찾아 삭제한다.
- 비점유 공간 설정: 사람이 상주하지 않는 CS룸 등은 특성 창의 에너지 해석 부분에서 사람 수를 '0'으로 지정한다.
4단계: 구역(Zone) 설정
- 해석 탭의 '구역(Zone)' 도구는 여러 개의 '공간'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는 기능이다.
- 구역 설정의 목적 (건 방어 대표 설명): 냉난방 부하 계산은 최종적으로 장비의 용량과 수량을 산정하기 위함이다. 하나의 장비가 여러 공간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동일한 냉난방 시스템으로 제어될 공간들을 하나의 '구역'으로 묶어 총 부하를 계산해야 한다.
- 활용: 사용 시간(예: 8시간 존, 24시간 존)이나 시스템 종류에 따라 구역을 나누면, 각 구역의 특성에 맞는 최적의 장비를 선정하여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5단계: 냉난방 부하 해석 실행
- 사전 설정 완료 후, 해석 탭의 '난방 및 냉방 부하(Heating and Cooling Loads)' 아이콘을 클릭한다.
- 대화상자에서 상세 설정을 진행한다.
- 건물 유형: 건물의 주 용도(예: 사무실, 학교)를 지정한다.
- 위치: 분석의 정확도를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프로젝트의 실제 위치(예: 서울시 강남구)를 지정하면 Revit이 해당 지역의 기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온도를 계산한다.
- '계산(Calculate)' 버튼을 클릭하면 분석이 신속하게 실행된다.
6단계: 부하 보고서 검토
- 계산이 완료되면 상세한 '부하 보고서'가 생성된다.
- 프로젝트 요약: 프로젝트 위치, 위도/경도, 설계 기준 온도 등 기본 정보를 보여준다.
- 건물 요약: 건물 전체의 최고 냉방 부하 및 난방 부하 값을 제공한다.
- 구역 요약: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각 구역별 최고 부하 값을 보여준다. 이 값을 기준으로 실제 장비를 선정하게 된다.
- 공간 요약: 개별 공간에 대한 세부 부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 ElumTools를 활용한 조도 분석
건 방어 대표가 진행한 두 번째 세션에서는 Revit 애드인(Add-in) 프로그램인 ElumTools를 사용하여 정밀한 조도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을 소개했다.
2.1. Revit 기본 기능과 ElumTools의 비교
기능 | Revit 기본 기능 | ElumTools |
분석 방식 | 공간 계산 방식 (Zonal Cavity Method) | 라디오시티 방식 (Radiosity Method) |
결과 형태 | 공간의 평균 조도 값을 텍스트로만 확인 가능 | 점 단위(Point-by-point) 조도 값을 계산 |
시각화 | 그래픽 시각화 기능 없음 | 3D 뷰, 평면도에서 조도 분포를 색상과 값으로 시각화 가능 |
정밀도 | 전체적인 평균값만 제공 | 조명기구 위치에 따른 빛의 강약, 분포를 직관적으로 파악 가능 |
2.2. 분석 프로세스
1. 조명 패밀리 검증
- 조도 분석을 위해서는 조명 패밀리에 **포토메트릭 웹 파일(.ies)**이 내장되어 있어야 한다. 이 파일은 조명기구의 배광 데이터를 담고 있다.
- 핵심 확인 사항: ElumTools의 관리(Manage) 탭에서 패밀리를 선택했을 때, 미리보기 창에 노란색의 포토메트릭 웹 형상이 나타나야만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 형상이 보이지 않으면 .ies 파일이 있어도 분석이 불가능하다.
- .ies 파일은 조명기구 제조업체에서 제공받거나, 'Photometric InstaBase'와 같은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2. 재질 반사율 설정
- '재질 매핑(Material Mapping)' 기능을 통해 벽, 천장, 바닥 등 주요 마감재의 반사율과 투명도를 설정한다. 이는 조도 계산의 정확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3. 계산 실행 및 결과 검토
- 분석할 룸 또는 공간을 선택하고, 계산점 간격(예: 1m)과 작업면 높이(예: 바닥, 책상 높이)를 설정한 후 계산을 실행한다.
- 별도의 'Calculation Viewer' 창에서 렌더링된 이미지, 조도 값 분포도 등 다양한 형태로 3D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 평면도에서는 각 지점의 조도 값을 숫자로 확인할 수 있으며, 최소/최대/평균 조도 값을 정리한 일람표를 Revit 내에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2.3. 주요 고급 기능
- Layout Assistant: 목표 조도 값을 입력하면 해당 공간에 필요한 조명기구의 수량과 배치를 자동으로 계산하고 Revit 모델에 배치해준다.
- Daylighting: 특정 시점의 자연광(일광)과 인공조명을 결합하여 종합적인 조도 값을 계산할 수 있다.
3. Insight를 활용한 건물 성능 분석
하니 세라 대리가 마지막으로 소개한 Insight는 AEC 컬렉션에 포함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설계 초기 단계에서 건물의 에너지 성능을 빠르고 직관적으로 분석하는 강력한 도구이다.
3.1. 분석 프로세스 (4단계)
1단계: 위치 설정
- 정확한 기상 데이터 확보를 위해 해석(Analyze) 탭의 '장소(Location)' 도구로 프로젝트의 정확한 지리적 위치를 지정한다.
2단계: 에너지 모델 작성
- '에너지 모델 작성(Create Energy Model)' 버튼을 클릭하여 Revit 모델(개념 매스 또는 상세 모델)을 에너지 해석에 적합한 분석용 모델로 변환한다. 이 모델은 벽, 창, 지붕 등을 단순화된 표면으로 표현한다.
3. 에너지 설정
- 분석 모드(개념 매스 사용/건물 요소 사용), 지면 레벨(Ground Plane), 해석 공간 해상도 등 세부 옵션을 설정한다.
4. 생성(Generate)
- '생성(Generate)' 버튼을 클릭하면 모델이 오토데스크 클라우드로 업로드되어 분석이 수행된다. 분석 완료 후 이메일 알림을 통해 결과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3.2. 결과 보고서 분석 및 활용
- Insight의 웹 기반 대시보드는 매우 직관적이고 상호작용적이다.
- 핵심 지표: 연간 단위 면적당 에너지 비용과 같은 핵심 성능 지표를 중앙에 표시한다.
- 성능 영향 요소: 벽체 단열, 지붕 단열, 창 면적비(WWR), 조명 효율, HVAC 시스템 등 건물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이 개별 위젯 형태로 제공된다.
- 실시간 시나리오 분석: 각 위젯의 슬라이더를 조작하여 특정 설계 요소의 사양을 변경하면(예: 벽체 단열재 등급 변경), 전체 에너지 비용에 미치는 영향이 즉각적으로 그래프에 반영된다. 이를 통해 설계자는 여러 대안을 신속하게 비교하고 최적의 조합을 찾을 수 있다.
- 이력 관리: 분석한 여러 시나리오가 저장되어 각 옵션에 따른 성능 변화를 추적하고 비교할 수 있다.
3.3. 국내 적용 및 기대효과
Insight는 국내의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설계 초기 단계에서 Insight를 활용해 다양한 재료, 창호 계획, 매스 형태 등을 테스트하고 에너지 효율을 미리 예측함으로써, 더 높은 등급을 획득하고 취득세 감면, 건축 기준 완화 등의 인센티브를 확보하는 데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4. 질의응답 및 추가 정보
- 중소기업의 Revit MEP 도입 장점: 설계 변경 시 도면 누락 등의 오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파일에서 동시에 작업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 Insight와 철골 구조물 공장: Insight는 내/외부가 구분된 건물의 외피를 통한 열전달 해석에 최적화되어 있어, 개방된 형태의 철골 구조물 제조 공장과 같은 공간에는 적용이 어려울 수 있다.
- 추가 정보: 웨비나 참석자에게는 Sim-Plate 애드인 1개월 무료 사용권과 오프라인 교육 참여 기회가 제공되며, ElumTools 평가판은 오토데스크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추가설명(해설): https://info.dec-w.com/202
ⓐRevit MEP 웨비나.03_Revit MEP Analysis: 부하 계산부터 시스템 최적화까지 완벽 가이드
원본자료: https://info.dec-w.com/199 [Revit MEP 웨비나]03_Revit MEP! Analysis 기능까지 활용하기![Revit MEP 웨비나]03_Revit MEP! Analysis 기능까지 활용하기!Revit MEP 분석 기능 활용 웨비나: 주요 내용 요약 Executive Su
info.dec-w.com
[Revit MEP 웨비나] Revit MEP! Analysis 기능까지 활용하기!
Revit MEP 웨비나 시리즈 3탄!
지난 1탄, 2탄 웨비나에서는 설계에서부터 제작까지의 Revit MEP 활용 방안과 편리한 작업을 위한 Revit Add-in 활용 방안에 대하여 소개 드렸습니다.
이번 Revit MEP 웨비나 시리즈 3탄에서는 국내 최초 Revit MEP 도입 전문가가 Revit MEP Analysis 기능을 소개해드립니다!
만약 본 내용 중 저작권 등과 관련하여 문제가 있을 경우, 알려주시면 신속하게 수정·삭제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NotebookLM을 이용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디이씨(D.E.C)
martin@dec-w.com
'BIM_무료(교육)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vit MEP 웨비나.02_Revit Add-in으로 BIM 생산성 70% 높이는 비법: MEP 설계 자동화 완벽 가이드 (0) | 2025.10.13 |
---|---|
ⓐRevit MEP 웨비나.01_Revit MEP를 통한 모듈러 공법 성공 사례와 활용 전략 (0) | 2025.10.13 |
[Revit MEP 웨비나]02_Revit Add-in을 활용하여 더 효율적인 BIM 설계하기! (0) | 2025.10.13 |
[Revit MEP 웨비나]01_Revit MEP를 활용한 설비분야 BIM 설계 성공사례 및 활용 방안 (0) | 2025.10.12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09_3단계로 끝내는 깔끔한 도면화(Sheet) 완벽 가이드 (0) | 2025.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