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조주택 시공 순서 및 구조 이해: 목조주택 왜 이렇게 짓는지 알게됩니다.
목조 주택의 건축 과정을 시공 순서에 따라 설명합니다. 기초부터 지붕까지 각 부분의 명칭과 역할을 알기 쉽게 소개하며, 일반인이 목조 주택의 구조를 이해하여 시공업자와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하자를 방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전통적인 지붕 구조와 현대적인 트러스 구조를 비교하며 시팅 작업의 중요성도 강조합니다.
음성개요(내용설명):
유튜브 소개영상:
https://youtu.be/vN50O-L1CxM?si=Dlan_OIiixZACFv4
목조주택의 건축 과정을 기초부터 지붕까지 시공 순서대로 핵심적인 부분을 상세히 설명하여 일반인도 쉽게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콘크리트 기초 위에 올라가는 토대(머드씰), 바닥을 지지하는 **장선(조이스트)**과 들보(빔), 그리고 벽을 세우는 스터드 등 각 부재의 역할과 명칭을 설명하며, 문과 창문 같은 개구부의 헤더와 킹스터드의 중요성도 강조합니다. 마지막으로 벽과 지붕의 합판 시팅 작업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핵심 단계임을 설명하며, 목조주택 건축의 전반적인 구조를 체계적으로 안내합니다.
https://youtu.be/3fP0LZMEV5w?si=oj1KcH2CoD2P-oeD
주택 골조의 기본 용어와 각 부재가 하는 역할을 간단하게 설명합니다. 집의 기초부터 지붕까지 각 부분의 주요 골조 부재 이름과 그 기능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어, 건축이나 리모델링 시 업자와의 소통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토대 깔판, 장선, 스터드, 보, 서까래, 트러스 등 다양한 부재를 설명하며, 문의나 창문과 같은 개구부 주변의 특수 골조와 지붕 골조의 종류까지 다룹니다.
1. 목조주택 골조 이해의 중요성:
- 두 자료 모두 목조주택의 골조를 이해하는 것이 건축주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 건축 구조를 잘 이해하면 시공업자와의 소통이 원활해지고, 공사 진행 상황을 스스로 판단하여 문제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기초 (Foundation):
- 목조주택 골조는 기초 위에 설치됩니다.
- 한국에서는 주로 매트기초 방식이 흔하게 사용됩니다. 전체 바닥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을 만듭니다. (보일러 난방 배관 공사에 유리함)
- 줄기초는 벽이 올라가는 부분만 콘크리트나 벽돌로 하부를 만드는 방식입니다. 집 하단에 약간의 공간이 생깁니다.
3. 머드씰/토대 (Mud Sill/Sill Plate):
- 기초 콘크리트 위에 가장 먼저 올라가는 목재입니다. 외벽과 내벽이 만들어지는 모든 부분에 설치됩니다.
- 콘크리트나 벽돌과 같은 석재는 수분을 머금고 있으므로, 머드씰은 방부처리된 방부목을 사용해야 부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앵커 볼트를 통해 콘크리트 기초와 단단히 연결되어 태풍 등으로 인한 움직임을 방지합니다.
4. 장선 (Joist):
- 벽과 벽 사이의 빈 공간에 다리를 놓아주는 것처럼, 바닥 구조를 만드는 부재입니다.
- 주로 2층 바닥이나 천장 부분 시공에 사용됩니다 (1층 바닥은 매트기초인 경우가 많음).
- 예전에는 두껍고 큰 나무를 사용했으나, 요즘은 **엔지니어링 목재 (I-joist, LVL)**를 많이 사용합니다. 시공성이 좋고 비교적 저렴합니다.
- 장선의 끝 부분을 가로로 막아주는 목재는 **림 조이스트 (Rim Joist)**라고 합니다.
5. 보/들보 (Beam/Girder):
- 장선들을 튼튼하게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부재입니다.
- 장선보다 더 두껍고 큰 나무를 사용하며, 요즘은 LVL과 같이 튼튼하게 제작된 합판을 많이 사용합니다.
- LVL은 통자 원목에 비해 잘 휘지 않고 길게 제작하기 용이하여 큰 창문이나 폴딩도어 등의 헤더 (Header) 용도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6. 기둥 (Post/Column):
- 가로로 가는 보의 무게를 수직적으로 받쳐주는 역할을 합니다. '기둥과 보' 시스템을 이룹니다.
- 경량 목구조에서는 따로 기둥이 없는 경우도 많지만, 포치나 알프레스코와 같이 돌출된 부분에는 노출된 기둥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기둥과 보를 사용하여 집의 메인 구조를 만드는 방식은 전통적인 중목구조 목조주택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7. 하부 바닥 합판 (Subfloor):
- 바닥 마감재 아래에 들어가는 바닥 합판입니다.
- 바닥 장선 위에 설치되어 사람이 편하게 이동할 수 있는 바닥면을 만듭니다.
- 주로 '텅 앤 그루브 (Tongue and Groove)' 방식으로 끼워 맞추는 두꺼운 합판을 사용하며, 바닥 면적 전체를 덮습니다.
- 하부 바닥 합판 설치 이후의 모든 재료(벽 포함)는 이 위에 올라가게 됩니다.
8. 스터드 (Stud):
- 목조주택 벽의 구조를 이루는 나무 기둥입니다.
- 외벽은 보통 2바이6 (약 140mm) 목재를, 실내 벽은 2바이4 (약 90mm) 목재를 사용합니다.
- 스터드 간격은 보통 16인치 또는 24인치로 설치합니다. 이는 북미에서 재단되어 들어오는 OSB 합판 크기에 맞추기 위함입니다.
9. 플레이트 (Plate):
- 스터드의 위아래에 가로로 설치되는 목재입니다. 누워있는 스터드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아래쪽에 있는 플레이트는 바텀 플레이트 (Bottom Plate), 위쪽에 있는 플레이트는 **탑 플레이트 (Top Plate)**라고 합니다.
- 머드씰과 달리 습기 있는 재료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방부목을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 탑 플레이트는 보통 두 겹으로 보강하여 더 튼튼하게 만듭니다.
- 벽체를 조립할 때는 바닥에 스터드와 플레이트 위치를 표시하고 조립한 후, 세워 올려 벽을 만듭니다.
10. 창문 및 문 개구부 프레이밍:
- 문과 창문이 들어가는 자리는 스터드가 끊기므로 특별한 프레이밍이 필요합니다.
- 헤더 (Header): 문이나 창문 위쪽에 크고 두껍게 들어가는 나무입니다. 스터드가 없는 열린 공간 위쪽에서 하중을 받쳐 양 끝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 잭 스터드 (Jack Stud) / 트리머 스터드 (Trimmer Stud): 헤더가 앉게 되는 스터드로, 헤더의 무게를 받쳐주는 역할을 합니다.
- 킹 스터드 (King Stud): 잭 스터드 바로 옆에 길게 붙는 스터드입니다. 바텀 플레이트부터 탑 플레이트까지 쭉 이어지며, 창문의 무게를 받쳐주고 마감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 크리플 스터드 (Cripple Stud): 창문 위 (헤더 위)나 창문 아래에 들어가는 짧은 스터드입니다.
- 러프 실 (Rough Sill): 창문 개구부 아래에 가로로 들어가는 나무로, 창문을 받쳐주는 역할을 합니다.
- 러프 오프닝 (Rough Opening): 개구부 전체의 프레임된 공간을 의미합니다. 이 구조는 문과 창문으로 무게가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변형이나 하자를 방지합니다.
11. 블라킹 (Blocking) / 노징 (Nogging):
- 스터드 사이사이에 가로로 짧게 들어가는 나무입니다.
- 스터드가 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 화재 시 불의 확산을 지연시키는 방화 차단 (Fire Block) 기능도 있습니다.
- 벽뿐만 아니라 바닥 장선 사이에도 들어가 같은 역할을 합니다.
- 주방이나 거실 벽에 가구나 TV 등을 고정할 때 나사를 박기 편리하도록 블라킹을 설치하기도 합니다.
12. 계단 (Stairs):
- 나무로 만들어진 계단은 **스트링어 (Stringer)**라고 하는, 계단 형태대로 지그재그로 자른 나무로 만듭니다.
- 공장에서 제작된 유닛을 사용하거나 현장에서 직접 제작하기도 합니다.
- 계단에서 수직으로 올라가는 부분은 라이저 (Riser), 발로 딛는 부분은 **트레드 (Tread)**라고 합니다.
13. 지붕 골조 (Roof Framing):
- 지붕 골조는 2차원 구조인 벽이나 바닥과 달리 3차원 입체 구조로 복잡합니다.
- 라프터 (Rafter): 지붕에서 가장 먼저 보이는 대각선으로 가는 나무입니다. 한옥의 서까래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 라프터 아래쪽은 벽의 탑 플레이트에 앉게 됩니다.
- 지붕의 각도에 따라 버드마우스 (Bird's Mouth) 부분을 잘라줍니다.
- 라프터 위쪽에서 반대 방향 라프터와 만나는 곳에는 **릿지 보드 (Ridge Board)**가 들어가 양쪽 라프터를 고정합니다.
- 모임 지붕 (Hip Roof): 지붕의 모서리로 대각선으로 내려가는 라프터를 **힙 라프터 (Hip Rafter)**라고 합니다. 내각 코너로 내려가는 라프터는 **벨리 라프터 (Valley Rafter)**라고 합니다. 힙 라프터와 벨리 라프터에 의해 짧아지는 라프터를 잭 라프터 (Jack Rafter), 원래 길이 그대로 있는 라프터를 **커먼 라프터 (Common Rafter)**라고 합니다.
- 처마 (Eave): 라프터들 중 처마 제일 끝에 붙는 것은 서브 파시아 (Sub-fascia), 그 위에 붙는 나무는 **파시아 (Fascia)**입니다. 처마가 되기 위해 외벽 바깥쪽으로 나오는 라프터의 아랫부분은 테일 (Tail), 테일에 붙게 되는 나무는 **룩아웃 (Lookout)**이라고 합니다. 룩아웃은 비를 맞게 되어 잘 썩으므로 요즘은 컬러강판 같은 재료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 루프 트러스 (Roof Truss):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지붕 시공 방식입니다. 도면을 기초로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만 하는 방식으로, 전통적인 라프터 방식보다 시공이 간편하고 빠릅니다.
- 트러스는 공학적으로 아주 튼튼하고 안정적인 구조입니다.
- 트러스 자체가 보 역학을 하기 때문에 집 중간에 하중을 받쳐주는 내력벽이 거의 필요 없어 실내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다만 한국에서는 다락 공간 활용을 중요하게 여기므로 아직 보편화되지는 않았습니다.
- 지붕 프레이밍 구조는 크게 전통적인 라프터 방식과 트러스 방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4. 벽 및 지붕 시팅 (Sheathing):
- 골조 뼈대를 만든 후, 합판(OSB 합판 등)으로 집 전체를 덮어주는 작업입니다. 집의 피부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 시팅은 집이 무너지지 않도록 합니다. 합판이 부착되면서 집이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잡아주는 브레이싱 (Bracing)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 스터드나 기둥은 수직 하중에는 강하지만, 좌우 움직임에는 약하므로 브레이싱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핵심 용어 용어집
- 매트 기초 (Matte Foundation): 주택의 전체 바닥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만드는 기초 공법.
- 줄기초 (Strip Footing): 벽이 세워지는 부분 아래만 콘크리트나 벽돌로 기초를 만드는 공법.
- 머드씰 / 토대 (Mud Sill / Sill): 콘크리트 기초 위에 가장 먼저 올라가는 목재로, 석재와 목재 사이의 완충 및 방부 역할을 함. 방부목 사용 필수.
- 플로어 조이스트 (Floor Joist): 벽과 벽 사이 또는 보 위에 걸쳐져 바닥을 지지하는 수평 구조 부재.
- 림 조이스트 / 밴드 (Rim Joist / Band Joist): 플로어 조이스트 끝 부분을 가로로 막아주는 부재.
- 빔 / 거더 (Beam / Girder): 플로어 조이스트나 라프터 등을 받쳐주는 더 두껍고 큰 수평 구조 부재. 하중을 기둥이나 벽으로 전달.
- 포스트 / 기둥 (Post / Column): 빔이나 거더 등의 상부 하중을 수직으로 받아 기초로 전달하는 수직 구조 부재.
- LVL (Laminated Veneer Lumber): 얇은 목재 단판을 여러 겹 접착하여 만든 엔지니어링 목재. 강도가 높고 길이가 길어 빔이나 헤더 등에 사용.
- I 조이스트 (I-Joist): I자 단면을 가진 엔지니어링 목재 조이스트. 경량이며 시공성이 좋음.
- 서브 플로어 (Subfloor): 플로어 조이스트 위에 깔려 마감재 아래의 바닥면을 만드는 합판 또는 OSB 시트. 보통 텅앤그루브 방식으로 시공.
- 스터드 (Stud): 벽체의 수직 구조를 이루는 목재 기둥.
- 바텀 플레이트 (Bottom Plate): 벽체 스터드 아래에 가로로 놓이는 목재 부재.
- 탑 플레이트 (Top Plate): 벽체 스터드 위에 두 겹으로 놓여 벽체의 상부를 보강하는 목재 부재.
- 헤더 (Header): 문이나 창문과 같은 개구부 위에 설치되어 상부 하중을 받아 개구부 양 끝으로 전달하는 수평 부재.
- 잭 스터드 / 트리머 스터드 (Jack Stud / Trimmer Stud): 헤더의 끝 부분을 직접적으로 받쳐주는 스터드.
- 킹 스터드 (King Stud): 바텀 플레이트부터 탑 플레이트까지 쭉 이어지며 잭 스터드를 감싸고 문/창 개구부의 수직면을 형성하는 스터드.
- 크리플 스터드 (Cripple Stud): 문이나 창 개구부 위 또는 아래의 빈 공간을 채우는 짧은 스터드. 마감재 부착면 제공.
- 러프 실 (Rough Sill): 창문 개구부 아래에 가로로 놓여 창틀을 받쳐주는 부재.
- 러프 오프닝 (Rough Opening): 문이나 창문이 설치될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구조적인 개구부 전체.
- 블락킹 / 노깅 (Blocking / Nogging): 스터드나 조이스트 사이에 가로로 짧게 들어가 뒤틀림 방지, 방화 구획, 부착면 제공 등의 역할을 하는 부재.
- 스트링어 (Stringer): 계단의 경사를 이루는 지그재그 모양의 구조 부재.
- 라이저 (Riser): 계단에서 발판(트레드) 사이의 수직 부분.
- 트레드 (Tread): 계단에서 발로 딛는 수평 부분.
- 라프터 (Rafter): 지붕의 경사를 이루는 대각선 구조 부재.
- 릿지보드 (Ridge Board): 지붕의 가장 높은 꼭대기에서 라프터들을 고정하는 수평 부재.
- 힙 라프터 (Hip Rafter): 모임지붕에서 벽 모서리에서 릿지로 대각선으로 올라가는 라프터 (외각 코너).
- 벨리 라프터 (Valley Rafter): 모임지붕에서 벽 모서리에서 릿지로 대각선으로 올라가는 라프터 (내각 코너).
- 잭 라프터 (Jack Rafter): 힙 라프터나 벨리 라프터에 의해 길이가 짧아지는 라프터.
- 커먼 라프터 (Common Rafter): 지붕 꼭대기(릿지)에서 벽체까지 길이가 변하지 않고 곧게 뻗은 라프터.
- 라프터 테일 (Rafter Tail): 외벽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처마를 이루는 라프터의 끝 부분.
- 서브 파시아 (Subfascia): 라프터 테일 끝에 붙는 수평 부재.
- 루프 트러스 (Roof Truss): 공장에서 사전 제작된 지붕 구조 단위로, 여러 개의 짧은 목재 부재가 철물(네일 플레이트)로 연결되어 삼각형 형태의 안정적인 구조를 이룸.
- 네일 플레이트 (Nail Plate): 루프 트러스 부재들을 연결하는 철물.
- 시팅 / 쉬딩 (Sheathing): 목조주택의 골조 외부를 덮는 합판 또는 OSB 등의 판상 재료. 구조적 안정성(브레이싱) 및 외장 마감의 바탕면 역할.
- 타이벡 / 하우스랩 (Tyvek / House Wrap): 시팅 위에 붙여 방수 및 방풍 역할을 하는 시트.
[마인드맵]
NotebookLM을 이용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디이씨(D.E.C)
martin@dec-w.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