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IM_무료(교육)/[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5.Electrical 모델링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5.Electrical 모델링

등록일시: 2020. 5. 12.

Revit MEP 전기 모델링 핵심 요약

 

Executive Summary

이 문서는 Revit MEP를 활용한 전기 분야 모델링의 핵심 개념과 절차를 요약한다. 전기 모델링은 주로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와 **전선관(Conduit)**이라는 두 가지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모델링 방식은 기존의 덕트 및 파이프 모델링과 매우 유사하여, 자동 라우팅 기능을 통해 엘보우, 티 등의 부속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프로세스의 핵심은 적절한 **전기 템플릿(Electrical Template)**을 선택하는 것에서 시작하며, 케이블 트레이 가시성을 위해 전력(Power) 뷰에서 작업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델링 시 상세 수준(Detail Level)을 '높음'으로 설정해야 케이블 트레이의 사다리 형태와 같은 세부 사항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전선관 모델링의 가장 큰 특징은 분기 시 일반적인 '티(Tee)' 대신 **'배선함(Junction Box)'**이 생성된다는 점이다. 또한, 기본 제공되는 장비 패밀리뿐만 아니라, BIMobject와 같은 외부 사이트에서 패밀리를 다운로드하여 모델에 적용하고 연결하는 방법이 실무에서 중요하게 활용된다.

 

원본영상: https://youtu.be/dWRMNlG76uI?si=FJbx7D5aRLxvhTAa

이전 영상(04) 다음 영상(06)

 


1. 전기 모델링의 기본 개념

Revit MEP에서의 전기 모델링은 주로 두 가지 주요 구성 요소를 다룬다. 모델링 방식은 기존에 다루어진 덕트 및 파이프 작업과 유사하여 직관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 케이블 트레이 (Cable Tray)
    • 정의: 전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구조체로, 일반적으로 사다리 모양을 하고 있다. 구조체 위에 다수의 전기 케이블이 배치된다.
    • 인용: "케이블 트레이는 이제 전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구조체를 의미를 합니다... 대부분 이렇게 사다리 모양으로 되어있어요."
  • 전선관 (Conduit)
    • 정의: 전선을 보호하는 얇은 관으로, 관 내부에 전선이 포함되는 형태이다.
    • 인용: "전선관 같은 경우에는... 저 얇은 관 안에 전선이 다 들어있다고 생각하시면 되세요. 말그대로 전선 과인 거죠."

2. Revit 프로젝트 설정 및 준비

효과적인 전기 모델링을 위해서는 올바른 프로젝트 환경 설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 템플릿 선택 (Template Selection)
    • 기존의 기계 템플릿이 아닌, **전기 전용 템플릿(Electrical Template)**을 사용해야 한다.
    • 새 프로젝트 생성 시 '찾아보기'를 통해 일렉트리컬 디폴트(Electrical Default) 템플릿을 선택하여 연다.
    • 해당 템플릿을 사용하면 뷰 탐색기가 전기 설비에 맞게 구성된다.
  • 작업 뷰 설정 (Setting the Working View)
    • 기본으로 활성화된 '조명(Lighting)' 뷰에서는 케이블 트레이가 보이지 않는다.
    • 따라서 모델링 작업은 반드시 '전력(Power)' 뷰에서 진행해야 한다.

3. 케이블 트레이 모델링 절차

케이블 트레이 모델링은 옵션 막대에서 속성을 지정하고 작업 평면에 경로를 그리는 직관적인 방식으로 진행된다.

기본 모델링 및 자동 라우팅

  1. 도구 실행: [시스템] 탭 → [케이블 트레이]를 클릭한다.
  2. 유형 선택: 특성 창에서 '래더(Ladder)' 형태의 케이블 트레이를 선택한다.
  3. 속성 지정: 옵션 막대에서 폭, 높이, 그리고 바닥으로부터의 레벨(입면도)을 지정한다.
  4. 경로 생성: 작업 화면을 클릭하여 시작점과 끝점을 지정하고, 분기(branch)가 필요한 지점에서 경로를 이어 그리면 엘보우(Elbow)와 티(Tee)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 이 자동 생성 기능은 오토 라우팅(Auto-Routing) 설정에 따른 것이며, 케이블 트레이 선택 후 [유형 편집] → '부속' 항목에서 설정된 패밀리를 확인할 수 있다.

시각화 및 상세 수준

  • 상세 수준(Detail Level): 기본값인 '중간' 수준에서는 케이블 트레이가 단순한 선으로 보이지만, 상세 수준을 **'높음'**으로 변경해야 비로소 사다리 모양의 디테일이 나타난다.
  • 비주얼 스타일(Visual Style): '음영 처리'로 변경하면 모델에 색상이 입혀져 가시성이 향상된다.

고급 모델링 기법

  • 입상(Riser) 모델링: 수직 경로를 모델링하려면, 입면도 값을 원하는 높이로 변경한 후 '적용' 버튼을 두 번 클릭한다. 생성된 입상은 3D 뷰에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 리듀서(Reducer) 생성: 모델링 도중 폭과 높이 값을 변경하고 경로를 계속 그리면, 크기가 다른 케이블 트레이를 연결하는 리듀서 부속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4. 전선관 모델링 절차

전선관 모델링 역시 케이블 트레이와 유사하지만, 분기 시 생성되는 부속의 형태에서 중요한 차이점을 보인다.

기본 모델링

  1. 도구 실행: [시스템] 탭 → [전선관]을 클릭한다.
  2. 속성 지정: 옵션 막대에서 지름과 입면도를 설정한다.
  3. 경로 생성: 케이블 트레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경로를 그리면 엘보우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오토 라우팅 설정은 [유형 편집]에서 확인 가능하다.

특징적인 부속: 배선함 (Junction Box)

  • 분기 생성: 전선관을 분기하면 일반적인 '티'가 아닌 **'배선함(배선 함하고 t 라고 되어 있죠)'**이라는 특수한 부속이 생성된다.
  • 형태 변환:
    • 생성된 배선함에는 + 아이콘이 표시된다.
    • 이 + 아이콘을 클릭하면 '티 배선함'이 **'크로스(Cross) 배선함'**으로 전환된다.
    • 다시 - 아이콘을 클릭하면 '티 배선함'으로 돌아온다.
    • 중요: 전선관의 경우, 티 배선함과 크로스 배선함의 시각적 형태는 동일하다.

5. 장비 연결 및 외부 패밀리 활용

실제 설계 환경과 유사하게, 생성한 케이블 트레이와 전선관을 전기 장비에 연결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기본 장비 배치 및 연결

  1. 장비 삽입: [시스템] 탭 → **[전기 시설물]**을 선택하고, [패밀리 로드]를 통해 라이브러리에서 필요한 장비를 불러온다. (예: 전기/MEP/전력/분배 폴더의 '변압기 스위치보드')
  2. 장비 배치: 평면도에 장비를 배치한다.
  3. 전선관 연결:
    • 3D 뷰에서 장비에 표시된 원형 커넥터 아이콘을 찾는다.
    • 아이콘을 마우스 우클릭한 후 **'면에서 전선관 그리기'**를 선택한다.
    • 필요 시 '치수 기입 편집 모드'를 이용해 연결 지점의 정확한 위치를 조정한 후 '연결 완료'를 클릭한다.
    • 완료 즉시 장비에서부터 전선관이 생성되어 모델링을 이어갈 수 있다.

외부 패밀리 다운로드 및 활용

Revit 기본 라이브러리에 없는 특정 장비는 외부 소스에서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1. 다운로드 사이트: BIMobject (bimobject.com)와 같은 사이트를 활용한다.
  2. 검색 및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Junction Box' 등 필요한 객체를 검색하고, Revit 형식의 파일(.rfa 확장자)을 다운로드한다. (로그인 필요)
  3. 패밀리 로드: 다운로드한 .rfa 파일을 Revit 프로젝트로 불러온다.
  4. 호스트 기반 객체 처리:
    • 일부 패밀리는 '호스트(Host)' 기반 객체로, 벽이나 천장과 같은 특정 요소에만 부착될 수 있다.
    • 만약 패밀리가 벽 기반이라면, [건축] 탭에서 벽을 먼저 생성해야 한다.
    • 프로젝트 탐색기의 '패밀리' → '전기설비' 항목에서 로드한 패밀리를 찾아 벽에 배치한다.
  5. 연결: 배치된 외부 패밀리에도 다수의 커넥터 포인트가 있으며, 동일한 방식으로 우클릭하여 전선관을 자유롭게 연결하고 모델링을 확장할 수 있다.

 

 

 

 


05.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 Electrical 모델링
전선관과 케이블 트레이의 수평/입상 모델링과 오토라우팅을 적용해보고, 조명기구 천장 배치 및 케이블 트레이, 전선관 관련 피팅류를 추가하고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만약 본 내용 중 저작권 등과 관련하여 문제가 있을 경우, 알려주시면 신속하게 수정·삭제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NotebookLM을 이용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디이씨(D.E.C)

martin@dec-w.com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디이씨(DEC) | 이정희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항동로 128, 924호 | 사업자 등록번호 : 220-10-09832 | TEL : 070-8657-2850 | Mail : martin@dec-w.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24-고양덕양구-2952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