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자료: https://acadec.tistory.com/186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1.BIM & Revit 기본 개념으로 미래 경쟁력 확보!
원본자료: https://acadec.tistory.com/176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1.BIM 과 Revit의 기본개념[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1.BIM 과 Revit의 기본개념.등록일시: 2020. 4. 14.BIM 및 Revit MEP 기본 개념 브리핑 요약
info.dec-w.com
요약영상: https://youtu.be/upwxlP_HhCA
이전 영상(01) | 다음 영상(03) |
AI 오디오(심층 분석):
안녕하세요! Revit MEP 작업을 막 시작하신 분들이라면, 아마 가장 먼저 부딪히는 벽이 ‘MEP 환경 설정’이 아닐까 싶어요. 기본 템플릿으로 시작했다가 원하는 덕트, 파이프 모양이 안 나와서 당황한 경험, 저도 있었거든요. 😅 솔직히 말해서, 이 초기 세팅이 제대로 안 되면 나중에 정확한 물량 산출이나 시각화 자체가 불가능해집니다. 이번 포스팅은 Revit MEP 왕초보 탈출을 위한 2단계! 덕트, 파이프, 전선관 등 핵심 시스템의 설정 방법을 완전 정복해볼게요. 😊
Step 1. MEP 시스템 설정의 중요성 파악하기 💡
Revit에서 MEP 요소들은 단순히 그림이 아니에요. 각각의 시스템 특성(System Property)과 유형(Type)에 따라 그 기능과 데이터가 정의됩니다. 덕트가 공기를 운반하고, 파이프가 유체를 운반하는 것처럼 말이죠. 초기 설정을 놓치면 프로젝트 전체의 데이터 무결성이 깨져서 나중에 수정하는 데 몇 배의 시간이 들게 됩니다.
MEP 세팅은 단순히 색깔을 바꾸는 작업이 아니라, **시스템의 동작 방식과 데이터를 정의**하는 작업입니다. 특히 BIM 기반 물량 산출(Quantification)의 정확도를 좌우하는 핵심 단계예요.
Step 2. 시스템 유형(Type) 및 특성 상세 설정 📝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덕트, 파이프, 전선관 등 각 요소의 '유형(Type)'과 '시스템 특성(System Properties)'을 프로젝트에 맞게 정의하는 거예요. 예를 들어, 덕트라면 '공조용 공급 덕트'인지, '환기용 배기 덕트'인지 구분해야겠죠?
1. 덕트 설정 (Duct Setting)
- 시스템 유형 정의: 공급(Supply), 리턴(Return), 배기(Exhaust) 등 공기 흐름에 따른 유형을 분류합니다.
- 덕트 재료 및 크기: 단열재 유무, 재료(철판, 알루미늄 등), 크기 범위 등을 사전에 설정하여 설계 규격에 맞춥니다.
- 계산 방법: 유속 기반의 마찰 손실 계산법 등 엔지니어링 계산 기준을 지정합니다.
2. 파이프 설정 (Pipe Setting)
- 시스템 유형 정의: 소화 배관, 급수, 급탕, 오수 등 유체의 종류에 따라 명확히 구분합니다.
- 배관 크기 및 재료: 스케줄(Schedule)에 따른 파이프 두께, 재료(PVC, 동관, 주철 등) 및 연결 부속을 설정합니다.
- 유압 계산: 압력 손실 및 유량 계산에 필요한 매개변수들을 입력합니다.
3. 전기 시스템 설정 (Electrical Setting: Conduits & Cable Trays)
전기 분야는 전선관(Conduit)과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설정이 중요합니다. 특히 전선관은 정해진 규격의 호칭 지름을 따르도록 설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케이블 트레이는 너비와 높이 등 패밀리 유형을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 주의하세요! (공통)
Revit은 시스템 유형별로 **연결 부속(Fitting)**이 다르게 적용돼요. 만약 설정을 잘못하면, 배관을 그릴 때 원하는 엘보(Elbow)나 티(Tee)가 자동으로 생성되지 않고 오류가 발생합니다. 초기 설정 시 필요한 부속 패밀리가 라이브러리에 있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Step 3. 표시 방법 설정 (View & Graphics Overrides) 🎨
시스템 특성을 정의했다면, 이제 도면에 어떻게 표시할지 설정할 차례입니다. 이게 바로 시스템 표시 방법(Display Methods)입니다. 공급 덕트는 파란색, 환기 덕트는 녹색으로 표시하는 것처럼, 뷰(View) 설정에서 카테고리별로 색상, 선 종류, 패턴 등을 지정해야 가독성이 높은 도면을 얻을 수 있어요.
구분 | 주요 설정 내용 |
---|---|
색상 | 시스템 유형별로 고유한 색상을 지정합니다. (예: 난방-빨강, 냉방-파랑) |
선 종류 | 은선, 점선, 실선 등 도면 표현을 위한 선 종류를 지정합니다. |
세부 수준 | '상세(Fine)', '보통(Medium)', '간략(Coarse)' 등 뷰 레벨에 따른 표시 방식을 설정합니다. |
모든 뷰에서 동일한 표시 방법을 적용하고 싶다면, **뷰 템플릿(View Template)** 기능을 활용하세요. 설정된 그래픽을 한 번에 여러 뷰에 적용하고, 관리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Revit MEP 시스템 설정 핵심 요약 카드 📝
MEP 초기 세팅 3줄 정리
자주 묻는 질문 ❓
오늘은 Revit MEP의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환경 설정'에 대해 알아봤어요. 처음에 조금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이 과정을 통해 여러분의 BIM 모델은 훨씬 더 정확하고 전문적인 데이터 기반을 갖게 될 거예요. 포기하지 마시고 꾸준히 따라와 주세요! 😊 다음 편에서는 이 설정을 바탕으로 실제로 덕트와 파이프를 그리는 방법에 대해 다뤄볼게요.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물어봐 주세요~!
Google Gemini을 이용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디이씨(D.E.C)
martin@dec-w.com
'BIM_무료(교육)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4.Revit MEP 배관 모델링 핵심 4단계 마스터하기 (0) | 2025.10.12 |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3.Revit HVAC 모델링 실전 테크닉 (1) | 2025.10.12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1.BIM & Revit 기본 개념으로 미래 경쟁력 확보! (0) | 2025.10.11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0.BIM, 설비 엔지니어링의 미래를 여는 첫걸음 (프롤로그) (1) | 2025.10.11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9.도면화 (1) | 2025.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