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자료: https://info.dec-w.com/184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9.도면화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9.도면화등록일시: 2020. 6. 16.Revit MEP 도면화 프로세스: 핵심 요약 및 상세 분석 핵심 요약본 문서는 Autodesk Revit MEP를 활용한 최종 도면화 작업의 핵심 프로세스를 요약
info.dec-w.com
요약영상: https://youtu.be/SYerwI8Ielk
이전 영상(08) |
AI 오디오(심층 분석):
혹시 Revit으로 3D 모델링은 그럴듯하게 했는데, 막상 **도면화(Sheet)** 단계에서 막히셨나요? 😥 저도 왕초보 시절에 예쁘게 만든 뷰를 어떻게 깔끔하게 종이 위에 올려야 할지 몰라 헤맸던 기억이 있거든요. 특히 MEP는 수많은 덕트, 파이프, 트레이 때문에 도면이 금방 복잡해지기 쉬워요. 근데 솔직히 말해서, 몇 가지 핵심 원칙만 알면 도면화는 정말 쉬워져요! 오늘은 Revit MEP의 뷰를 시트에 배치하고, 출력 준비를 완료하는 **도면화의 A to Z**를 친절하게 알려드릴게요. 이 가이드만 따라오시면 깔끔한 도면을 뽑아낼 수 있습니다. 😊
도면화의 시작: 시트(Sheet) 생성 및 뷰 배치 📝
도면을 만든다는 건, 실제 종이(혹은 파일) 위에 그림을 그릴 **판(Sheet)**을 만드는 것부터 시작해요. Revit에서는 이 판을 **시트(Sheet)**라고 부르죠. 시트 생성부터 뷰 배치까지의 핵심 단계를 따라 해 볼까요?
- 시트 새로 만들기: 프로젝트 탐색기에서 '시트(모두)'를 우클릭하고 '새 시트'를 클릭합니다. 사용할 **제목 블록(Title Block)** 패밀리를 선택하면 시트가 생성돼요.
- 뷰 드래그 & 드롭: 프로젝트 탐색기에서 시트에 배치하고 싶은 평면 뷰(예: Level 1 H&S Plan)를 선택한 후, 생성된 시트 위로 **드래그(Drag)하여 드롭(Drop)**하면 끝! 너무 간단하죠?
- 축척과 뷰포트 조정: 뷰를 배치하면 뷰의 크기가 도곽(제목 블록)보다 클 수 있어요. 뷰를 클릭하고 **속성(Properties)** 창에서 **축척(Scale)**을 변경하고, **자르기 영역(Crop Region)**을 활성화/조정해서 도곽 안에 딱 맞게 맞춰주세요.
뷰를 시트에 배치하면 '뷰포트 제목'이 따라붙어서 지저분해 보일 때가 있어요. 뷰포트를 선택하고 속성 창에서 **제목 유형(Title on Sheet)**을 '제목 없음'이나 필요한 스타일로 변경하면 깔끔하게 정리됩니다.
깔끔한 도면을 위한 DWG 데이터 활용과 정리 📌
MEP 도면 작업 시 **건축/구조 도면**을 DWG 형태로 받아서 활용하는 경우가 진짜 많잖아요. 이럴 때 DWG 파일을 어떻게 가져와야 하는지가 정말 중요해요. 단순히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면 큰일 나요! **'가져오기(Import)'**와 **'링크(Link)'**의 차이를 명확히 아는 게 핵심입니다.
- **링크(Link CAD):** 외부 파일의 변경 사항을 Revit에서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어요. 대부분의 경우 이 방식을 추천합니다.
- **가져오기(Import CAD):** 파일을 프로젝트 내부로 복사해와요. 원본 파일과의 연결이 끊어지므로, 수정이 거의 없는 단순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야 합니다.
DWG를 '가져오기'하면 프로젝트 파일 용량이 엄청나게 늘어나고, 원본 캐드 레이어가 Revit의 '가시성/그래픽' 설정에 영구적으로 남아 관리가 어려워집니다. 꼭 '링크' 기능을 우선 사용하세요.
DWG 삽입 방식 비교
구분 | Link CAD (링크) | Import CAD (가져오기) |
---|---|---|
원본 업데이트 | 가능 (자동 업데이트) | 불가능 (연결 끊김) |
파일 용량 | 변화 거의 없음 | 크게 증가 (프로젝트 내장) |
추천 용도 | 건축/구조 도면 레퍼런스 | 로고나 단순 심볼 등 |
최종 점검: 주석(Annotation)과 도면 마무리 작업 ✨
아무리 3D 모델링이 완벽해도, 도면 위에서 **주석(Annotation)** 작업이 빠지면 설계 도면이라고 할 수 없어요. 설비 도면에서는 **태그(Tag)**, **치수(Dimension)**, **상세 정보(Detail)**가 핵심이죠.
✅ 깔끔한 주석을 위한 3가지 액션 플랜
- 태그(Tag) 활용: 배관, 덕트 등에 태그를 달아 정보를 명확하게 표시하세요. 태그의 위치가 모델 요소와 겹치지 않게 배치하는 것이 중요해요.
- 치수(Dimension) 정확히 기입: 주요 설비 위치나 벽체와의 간격을 정확히 기입해서 시공 오류를 방지해야 합니다.
- 선 가중치(Line Weight) 조정: '관리' 탭에서 **추가 설정 → 선 가중치**를 조정해서 덕트는 굵게, 참조선은 얇게 표시하는 등 가독성을 높이세요.
[예시 소제목 📝] 덕트 태그를 3초 만에 넣는 방법
수동으로 하나씩 태그를 달지 마세요! **'주석' 탭 > '모두 태그 지정(Tag All)'** 기능을 이용하면 현재 뷰의 모든 요소(예: 덕트)에 한 번에 태그를 삽입할 수 있어요. 물론, 태그 유형과 리더(지시선) 설정을 미리 해두는 건 필수겠죠?
글의 핵심 요약: 도면화 3단계 성공 전략 📝
오늘 배운 Revit MEP 도면화의 핵심 과정을 3단계로 다시 한번 정리해드릴게요. 이 순서대로만 작업해도 도면 오류를 확 줄일 수 있어요!
- 시트 환경 설정: 원하는 크기의 제목 블록을 선택하고 새 시트를 만드세요. 필요한 경우 프로젝트 정보(이름, 날짜, 도면 번호)를 먼저 채워 넣는 것이 좋습니다.
- 뷰 배치 및 조정: 프로젝트 탐색기에서 뷰를 드래그하여 시트에 배치하고, **축척과 자르기 영역을 조정**하여 도곽 안에 알맞게 맞추는 것이 두 번째 핵심입니다.
- 주석 마무리 및 DWG 관리: 깔끔한 도면을 위해 **태그와 치수**를 추가하고, 외부 데이터는 반드시 **Link CAD** 기능을 사용해 파일을 가볍고 유연하게 관리하세요.
Revit MEP 도면화, 이것만 기억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 ❓
Google Gemini을 이용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디이씨(D.E.C)
martin@dec-w.com
'BIM_무료(교육)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8.Revit 스케줄 기능으로 MEP 물량 자동 산출하는 완벽 가이드 (0) | 2025.10.12 |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7.치수/문자/태그 완벽 마스터 가이드 (0) | 2025.10.12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6.건축/구조 모델 완벽하게 링크하는 4단계 가이드 (0) | 2025.10.12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5.Electrical 모델링, 4단계로 끝내는 회로 연결 완벽 가이드 (0) | 2025.10.12 |
ⓐRevit MEP 왕초보 탈출작전_04.Revit MEP 배관 모델링 핵심 4단계 마스터하기 (0) | 2025.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