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기관을 위한 openBIM 사용 지침
Guidance for Regulators on use of openBIM (buildingSMART International)
발행 : 2024. 11.
형식 : pdf 38 page
제작 : buildingSMART Internatioanl
자료출처 : https://www.buildingsmart.or.kr/Home/ServiceDataDetail?Page=1&idx=28
buildingSMART Korea
buildingSMART Internaional 에서 제작한 Guidance for Tegulators on use of openBIM의 한글자료 입니다. 목차 배경 4 1. 요약 5 2. 서론 6 2.1 규제 기관의 openBIM 사용에 대한 지침 범위 6 2.2 건물 정보 모델링 (BIM) 6 2.3 G
www.buildingsmart.or.kr
buildingSMART® International이 작성한 이 지침은 규제 기관이 건축 허가 절차에 개방형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표준을 통합하는 데 대한 포괄적인 개요를 제공합니다. 이 문서는 건설 산업의 디지털 전환 필요성을 강조하고, 기존의 파편화된 접근 방식과 비효율성을 지적하며 상호 운용성과 협업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openBIM 도입의 장점, 특히 기술 중립성, 데이터 연속성, 프로세스 자동화 및 공공 자산 관리 지원에 대해 설명합니다. 싱가포르와 에스토니아와 같은 사례 연구를 통해 국제적인 관점을 제시하고, 데이터 보호 및 개인 정보 보호 문제, openBIM이 초점을 맞추는 다양한 자산 유형에 대해 다룹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의 복잡성과 성공적인 구현을 위한 스폰서십, 합의, 그리고 규정의 디지털화의 중요성을 논의합니다.
음성개요(내용설명):
첨부파일(문서):
규제기관을 위한 openBIM 사용 지침
buildingSMART International에서 발행한 "규제 기관을 위한 openBIM 사용 지침"의 발췌문으로, 건설 산업 디지털 전환의 맥락에서 openBIM 표준의 중요성과 활용 방안을 설명합니다. 이 지침은 특히 규제 기관과 건물 허가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openBIM의 기술 중립성, 데이터 연속성, 업계와의 협력, 내부 조화 촉진, 허가 프로세스 자동화, 공공 자산 관리 지원 및 시민 참여 증진 등의 장점을 강조합니다. 또한, 에스토니아 및 싱가포르와 같은 실제 사례를 통해 openBIM 도입의 현재 상태와 과제, 그리고 미래 방향을 제시하며, 효과적인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를 위한 스폰서십, 합의 형성, 점진적 도입 전략의 필요성을 역설합니다.
1. 건설 산업의 디지털화 및 openBIM의 필요성:
- 건설 산업은 전 세계 GDP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지만, 단편화와 더딘 디지털화로 인해 생산성 및 현대성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요약 5페이지)
- 유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 11번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회복력 있고 지속 가능한 도시 만들기"는 건설 산업의 변화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요약 5페이지)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표준화된 디지털 협업 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buildingSMART International은 건물 데이터 상호 운용성을 위한 개방형 표준인 openBIM을 개발했습니다. (요약 5페이지)
- openBIM은 상호 운용 가능한 디지털 통신 및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여 데이터 일반 가독성, 정보의 장기 보관, 공급업체 종속 등의 장벽을 극복합니다. (요약 5페이지)
- 건설 산업의 디지털 표준에 대한 필요성은 건설 프로젝트의 복잡성 증가, 상호 운용성 문제, 디지털 기술의 부상, 산업의 세계화, 효율성 및 비용 절감 요구, 지속 가능성 및 안전 규정 준수 요구에 따라 발생했습니다. (3.1 건설산업 디지털화 표준 요구사항 11페이지)
2. openBIM이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 openBIM®: BIM의 오픈 버전으로, 누구나 공개적으로 액세스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확장성을 허용하는 오픈 라이선스를 사용합니다. buildingSMART International이 개발 및 보급을 관리합니다. (2.4 openBIM® 7페이지)
- openBIM은 건설 자산 산업에서 디지털 데이터의 접근성, 사용성, 관리 및 지속 가능성을 개선하여 BIM의 이점을 확장합니다. (2.4 openBIM® 7페이지)
- openBIM은 공급업체에 중립적인 협업 프로세스이며, 모든 프로젝트 참여자에게 원활한 협업을 지원하고 프로젝트 및 자산의 수명 주기 전반에 걸쳐 상호 운용성을 용이하게 하는 디지털 공유 가능 프로젝트 정보로 정의됩니다. (2.4 openBIM® 7페이지)
- openBIM의 가치:상호 운용성은 디지털 혁신에 핵심입니다.
- 상호 운용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개방적이고 중립적인 표준을 개발해야 합니다.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교환은 독립적인 품질 벤치마크에 따릅니다.
- 협업 워크플로는 개방적이고 민첩한 데이터 형식으로 향상됩니다.
- 기술 선택의 유연성은 모든 이해 관계자에게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합니다.
- 지속 가능성은 장기적으로 상호 운용 가능한 데이터 표준으로 보호됩니다. (2.4 openBIM® 7페이지)
- openBIM 도입은 유엔의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와도 일치합니다. (2.4 openBIM® 8페이지)
- openBIM 구성 요소는 공식 글로벌 표준(ISO 및 기타 글로벌 표준)에 포함되어 있으며, 디지털 산업 및 규제 기관 모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2.4 openBIM® 8페이지)
3. openBIM이 규제 프로세스에 도움이 되는 이유:
- 기술적 중립성: openBIM은 소프트웨어와 무관한 개방형 표준을 사용하여 시민과 기업의 기술 선택 독립성을 보장하고, 입찰 절차에서 차별을 피하며, 정보 교환의 상호 운용성을 촉진합니다. 독점 형식 요구는 '공급업체 종속' 상황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3.2.1 기술적 중립성 13페이지)
- 데이터 연속성 및 장기적 지속 가능성: openBIM은 데이터의 장기적 가독성을 보장하며, 특히 프로젝트 중단, 리노베이션, 법적 분쟁 등에서 모델 정보의 복구 및 활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IFC와 같은 개방형 표준은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을 유지하고 공개 사양을 제공합니다. (3.2.2 데이터 연속성 및 데이터와 시스템의 장기적 지속 가능성 14페이지)
- 업계와의 협력: openBIM은 당국과 규제 기관에서 널리 인정되었으며, 여러 국가에서 규제 및 건축 허가 요구 사항의 일부로 채택되었습니다. 개방형 표준을 통해 다양한 이해 관계자 간의 데이터 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건설 산업의 경쟁력도 향상됩니다. (3.2.3 업계와의 협력 14페이지)
- 규제 내부 조화: openBIM은 규제 기관 내부 및 기관 간 협업을 촉진하여 효율적인 워크플로와 개선된 커뮤니케이션으로 이어지고 오류 및 재작업을 줄입니다. 또한 데이터 관리 및 분석 도구 사용을 촉진하여 건물 성능 및 관리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2.4 규제 내부 조화 15페이지)
- 허가 프로세스 자동화: 자동 건축 허가 통제는 규제 분야에서 openBIM 채택의 가장 큰 원동력 중 하나입니다. 점진적인 접근 방식과 장기적 전환 프로젝트를 통해 달성될 수 있으며, 규제 구조에서 데이터의 구성 및 관리에 있어 중요한 변화를 가져옵니다. (3.2.5 허가 프로세스 자동화 17페이지)
- "건축 허가 통제의 자동화는 규제 도메인에서 openBIM을 채택하게 된 가장 큰 원동력이 된 꿈의 기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2.5 허가 프로세스 자동화 17페이지)
- 공공 자산 관리 및 유지 관리 지원: openBIM은 공공 서비스 기관이 직면한 과제를 해결하는 강력한 도구이며, 데이터 통합, 투명성, 추적성을 제공하여 공공 자산의 효율적인 관리 및 유지 관리를 지원합니다. (3.2.6 openBIM은 공공 자산의 관리 및 유지를 지원합니다. 17페이지)
- 도시 진화에 대한 시민 참여 지원: openBIM 표준은 건물 허가 절차에 시민이 효과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여 프로세스를 투명하고 민첩하게 만듭니다. (3.2.7 openBIM은 도시 진화에 대한 시민 참여를 지원합니다. 18페이지)
4. 규제 분야에서 openBIM 활용 현황:
- 전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들이 규제 프로세스를 위해 openBIM을 채택하거나 작업하고 있습니다. 에스토니아, 싱가포르, 두바이,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이 전자 허가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4.1 국제적 관점 19페이지)
- 유럽 연합(EU)은 건설 산업의 디지털화를 촉진하는 공통 전략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는 openBIM 및 규제 기관의 사용이 포함됩니다. 여러 EU 국가들이 공공 조달에서 openBIM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4.1 국제적 관점 20페이지)
- 싱가포르는 CORENET 및 CORENET-X 시스템을 통해 건설 승인 디지털 프로세스를 선도적으로 실험하고 있습니다. CORENET-X는 openBIM 모델을 활용하여 통합된 규정 준수 검토를 제공할 것입니다. (The Singapore case study 16페이지)
- "CORENET X는 각 컨설턴트가 여러 기관을 개별적으로 처리하도록 요구하는 현재 관행을 프로젝트 팀이 모여 각 기관에 대한 조정된 openBIM 모델을 제작하고 제출하여 규정 준수 검토를 위한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바꿀 것입니다." (The Singapore case study 16페이지)
- 노르웨이는 국가적 차원에서 디지털 건축 허가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했으며, 3단계 모델을 기반으로 디지털 셀프 서비스를 비전으로 삼고 있습니다. (3단계 모델 - 노르웨이 10페이지)
- 에스토니아는 국가 전자 허가 프로젝트를 통해 openBIM 데이터 기반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으며, 완전하고 관리 가능한 데이터 세트, 자동 검사 지원, 공통 데이터 요구 사항 제공 등의 장점을 보고했습니다. 단점으로는 건축 규정의 디지털 지원 부족, BIM 요구 사항 조정 필요성, 소프트웨어 적응 필요성 등이 언급되었습니다. (The Estonian Use case 22페이지)
- 건축 규정 준수를 위해 오픈 디지털 표준을 사용하는 것의 이점에 대한 인식이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규제 기관은 openBIM 채택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지식과 교육의 격차 해소 및 도입의 복잡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4.4.1 기대 조사 23페이지)
5. 데이터 및 표준:
- openBIM 표준은 여러 구성 요소로 구성되며, 이는 건물 모델 정의의 디지털 프로세스 일부를 구성합니다. (5 데이터 및 표준 24페이지)
- openBIM 모델은 건물 자산의 건설, 리노베이션 및 관리에 사용/처리되는 모든 정보의 저장소 역할을 합니다. (5.1 openBIM 모델과 교환되는 규제 정보는 무엇입니까? 24페이지)
- openBIM, 특히 IFC 파일은 표준화된 방식으로 확장 가능하여 규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맞춤형 데이터 세트 라이브러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buildingSMART는 규제 정보 요구 사항[RIR] 이니셔티브를 통해 공통적인 추가 데이터 세트에 대한 글로벌 openBIM 권장 사항을 수집하고 있습니다. (5.1 openBIM 모델과 교환되는 규제 정보는 무엇입니까? 25페이지)
- 건축 전자 허가 프로세스는 프로젝트 정보 모델 기간, 교환 기간, 규정 및 코드 검증 엔진, 교환 (2) 기간, 결과 보고 엔진 등의 단계를 포함하며, 각 단계에서 관련 ISO 표준이 활용됩니다. (5.1.1.1 건물 전자 허가: 프로세스 맵 26페이지)
- 자동 검사는 건축 허가 통제의 자동화 기능이며, IFC 기반 규칙 검증 및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이 진행 중입니다. 주요 과제는 지방 자치 단체 규칙의 현대화 및 디지털 모델 세계에서의 구현 어려움입니다. (5.1.2 자동 검사 27페이지)
- "가장 큰 어려움/과제는 종종 각 지자체에 고유한 지자체 규칙의 생태계를 현대화해야 할 필요성...과 대부분 규정이 시대에 뒤떨어지고 디지털 모델 세계에서 구현하기 어려운 종이 기반 검증에 집중하는 경향에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M.Azenha) (5.1.2 자동 검사 28페이지)
- 규정을 기계 작동 지침으로 변환하는 방법으로는 수동 필사, 규칙 템플릿 매핑, 자연어 처리(NLP) 사용, 하이브리드 방식(RASE 방법) 등이 있습니다. (5.1.2.1 기계 작동 지침에서 규정을 변환하는 방법 28페이지)
- openBIM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건물 데이터의 장기적 가독성을 보장하는 것이며, 이는 규제 관점에서 중요합니다. 많은 국가 기관들이 IFC 데이터를 건물 모델의 법적 보관 형식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5.1.3 데이터 보관 29페이지)
- "종종 openBIM 표준을 법적 보관 형식으로 선언하는 것은 2022년 핀란드에서 일어났듯이 국가의 모든 기관 디지털 건물 관리에서 오픈 3D 모델을 사용하도록 규제 프로세스를 변경하는 원동력이 됩니다." (5.1.3 데이터 보관 29페이지)
6. 건물 규제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 추진:
- 건축 규정의 디지털 전환은 복잡한 과제이며, 조직적 요인이 주요 장벽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려 깊은 계획과 정의된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6 건물 규제 디지털 변환 프로젝트 30페이지)
- 후원 및 합의: 자동화된 규제 프로세스를 향한 프로젝트는 점진주의와 법적 확실성을 기반으로 해야 하며, 규정 업데이트를 위한 병행 경로를 포함해야 합니다. 정치적 이해 관계자뿐만 아니라 모든 이해 관계자 간의 광범위한 합의가 필수적입니다. (6.1 후원 및 합의 31페이지)
- "정치적 이해 관계자뿐만 아니라 모든 이해 관계자 간의 광범위한 합의가 필수적입니다. 국가 규제 디지털화 프로젝트는 길고(거의 끝없는) 여정이기 때문입니다." (6.1 후원 및 합의 31페이지)
- 오픈 데이터 도입 촉진: 일관되고 개방적이며 상호 운용 가능한 3D 건물 데이터베이스가 건물 허가 디지털화 프로젝트에 필수적이며, 대부분의 국가들은 openBIM 및 GIS 데이터 채택을 점진적이고 강제적으로 홍보함으로써 디지털화 전략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6.1.1 오픈데이터 도입 촉진을 위한 구축 32페이지)
- 프로젝트 범위: 디지털 건축 허가 프로젝트의 범위는 허가 목표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성, 보안 거버넌스 등 동시 혁신 프로젝트의 요구 사항도 충족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규모 프로젝트/전략에 내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추가 노력을 통해 디지털 건축 허가 프로젝트 범위를 분리해야 합니다. (6.2 프로젝트 범위 33페이지)
- 변경 관리: openBIM 통합은 정보 공유 의향 및 규제 기관의 준비가 필요하며, 양측에서 통합된 팀 개발 및 훈련 전략이 필요합니다. 파일럿 프로젝트를 통해 프로세스를 테스트하고 업계와 규제 기관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6.3 변경 관리 33페이지)
- 방법론: 디지털 빌딩 생태계의 복잡성과 역동성, 규정 변경 빈도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젝트 관리에 유연한 접근 방식을 제공하는 방법론이 필요합니다. (6.3.1 방법론 35페이지)
- 교육 및 지원: 디지털 건축 허가에 관련된 모든 사람이 BIM 전문가가 될 필요는 없지만, BIM에 대한 기본적인 교육과 프로세스 이해가 필요합니다. 플랫폼/소프트웨어 공급업체 및 실무자 측면에서도 추가 교육이 필요하며, 많은 국가에서 BIM 공공 조달 의무로 인해 이미 이러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6.3.2 교육 및 지원 36페이지)
7. 결론:
- 건물 규정 프로세스의 디지털화는 막을 수 없는 추세이며, 디지털 허가 프로세스는 건물 규정 전체 디지털 변환의 기반이 됩니다. (7 결론 37페이지)
- openBIM은 건설 산업과 협력하여 개발되었으며, 규제 목적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습니다. 중립적, 개방적, 상호 운용 가능하며 오래 지속되는 표준 세트로서 건물 규제 디지털 프레임워크를 지원하는 가장 적합한 전략적 표준입니다. (7 결론 37페이지)
- openBIM은 공식 ISO 표준으로서 허가 절차의 모든 단계에서 법적 준수를 보장할 수 있으며, 많은 국가에서 문서 보관 및 교환을 위한 국가적 디지털 형식으로 인정합니다. (7 결론 37페이지)
- openBIM은 건설 산업 이해 관계자와의 대화를 촉진하여 규제 기관의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고 내부 프로세스를 간소화합니다. 가장 중요한 장점은 허가 중 프로젝트 검사를 자동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7 결론 37페이지)
-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많은 국가에서 openBIM을 사용한 전자 허가 도입 활동이 촉진되었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경험은 디지털 변환의 복잡성과 노력을 강조하는 동시에 규제 기관에 귀중한 통찰력과 제안을 제공합니다. (7 결론 37페이지)
- "이러한 상당한 장점으로 인해 많은 국가에서 openBIM을 사용하여 전자 허가를 도입하는 활동이 촉진되었습니다." (7 결론 37페이지)
[핵심 용어 및 정의]
-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건물의 물리적 및 기능적 특성에 대한 디지털 표현을 활용하는 건설 산업을 위한 협업적 접근 방식/방법론. 건물 설계, 시공 및 운영의 모든 측면을 디지털 모델로 통합합니다.
-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적으로 참조된 디지털 데이터를 캡처, 저장, 검색, 조작, 관리, 모델링, 공유, 분석 및 표시하도록 설계된 컴퓨터 기반 정보 시스템입니다.
- openBIM®: BIM의 오픈 버전으로, 누구나 공개적으로 액세스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확장성을 허용하는 오픈 라이선스를 사용합니다. buildingSMART International이 개발 및 보급을 관리하는 공급업체 중립적인 협업 프로세스입니다.
- buildingSMART International: 25년 이상 건축 환경 분야에서 활동해 온 국제 비영리 기구로, 개방형 디지털 표준 및 서비스를 개발하고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Regulatory Domain (buildingSMART International): openBIM을 사용하여 프로젝트 소유자와 규제 기관이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활동하는 buildingSMART International의 도메인 그룹입니다. 자동화된 규제 프로세스를 비전으로 합니다.
- IFC (Industry Foundation Classes): buildingSMART International에서 개발한 openBIM 표준으로, 데이터 교환을 위한 공통 언어를 촉진합니다. ISO 16739에서 관리됩니다.
- IDS (Information Delivery Specification): 교환할 데이터에 대한 요구 사항을 기록하는 사양입니다.
- bsDD (buildingSMART Data Dictionary): IFC 파일의 적합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참조 정보를 제공합니다.
- BCF (BIM Collaboration Format): 데이터 세트 업데이트 중에 변경 및 추가 사항을 제어된 방식으로 보고하는 데 사용되는 파일 형식입니다.
- CDE (Common Data Environment): 안전하고 제어된 디지털 환경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 MALD (Model As a Legal Document): 법적으로 준수할 수 있는 openBIM 접근 방식을 통해 모델 정보를 법적 문서로 사용하는 개념입니다.
- RASE (Requirement, Applicability, Selection, Exception): 규정에 대한 이해를 문서화하고 핵심 문구와 섹션의 역할을 강조하는 하이브리드 방법입니다.
- CORENET / CORENET-X: 싱가포르의 건설 승인을 위한 전자 제출 시스템 및 새로운 시스템입니다.
- DiBK (Direktoratet for byggkvalitet): 노르웨이 건축청으로, 디지털 건축 허가 개발 프로젝트에 착수했습니다.
- ByggNett: 노르웨이의 건물 관리를 위한 디지털 플랫폼입니다.
- PIM (Project Information Model): 특정 프로젝트 3D 모델을 단일 IFC 파일로 나타낸 것입니다.
- LOIN (Level of Information Need): 필요한 데이터의 세부 수준을 정의하는 ISO 표준입니다.
[마인드맵]
NotebookLM을 이용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디이씨(D.E.C)
martin@dec-w.com
'BIM_Tech > 자료(문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 전산기술 활용 BIM 실무 사례_2024-02 (2) | 2025.05.20 |
---|---|
ⓢ[자료] BIM 기반 교량 유지관리 기술_2025-04-22 (0) | 2025.05.07 |
ⓢ[자료] 디지털 트윈과 시스템 관점_2025-02-04 (0) | 2025.05.07 |
ⓢ[자료] 건설현장 BIM 영상데이터 생성기술_2024-02 (0) | 2025.05.07 |
ⓢ공공부문 초거대 AI 도입·활용 가이드라인 2.0_2025-04-16 (1)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