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IM_Tech/세미나

ⓢ[CNG TV] 공기업 BIM 적용 지침에 따른 설계 및 시공 프로세스 변화와 대응 전략_2025-03-31

[CNG TV] 공기업 BIM 적용 지침에 따른 설계 및 시공 프로세스 변화와 대응 전략 (성균관대 진상윤 교수)

발표자: 진상윤 교수(성균관대학교) 

주최: 캐드앤그래픽스

행사일시: 2025-03-31 16:00 ~ 17:00

 

최근 정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그리고 경기주택도시공사(GH) 등 주요 공기업들은 건설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의 정책방향에 맞춰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건설정보모델링) 적용지침을 제정하였다.

이번 방송에서는 최근 제정된 공기업의 건축 BIM 적용지침이 산업에 어떤 변화를 이끌어 낼 것인지 또 어떤 대응 전략이 산업 또는 개인 차원에서 필요한 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엔지니어링 IT미디어  '캐드앤그래픽스'에서 제공하는 동영상입니다.
캐드앤그래픽스 홈페이지 https://www.cadgraphics.co.kr
CNGTV 홈페이지 발표자료 다운로드  http://www.cngtv.co.kr


음성개요(내용설명):

 

유튜브 소개영상: 

성균관대학교 진상윤 교수는 공기업 건축 BIM 적용 지침의 개발 배경과 주요 내용을 소개합니다. 이 지침은 국토교통부의 건설 산업 스마트화 노력의 일환으로 만들어졌으며, LH 및 GH 공사의 BIM 적용을 의무화하고 설계 및 시공 프로세스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과거 BIM 전환 설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실질적인 BIM 프로세스를 유도하며, 지속 가능한 BIM 운영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발주 방식별 BIM 요구 사항과 건설 사업 관리자의 역할 변화, 중공 BIM 데이터 확보 등 구체적인 변화 내용과 함께, BIM 도입의 성공을 위한 인식 개선, 프로세스 개선, 대가 체계 변화, BIM 언어 사용, 생태계 변화의 다섯 가지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1. 공기업 BIM 적용 지침 제정 배경 및 목적:

  • 국토교통부의 건설 산업 스마트화 노력 및 국제 경쟁력 확보, 산업 선진화 추진 일환
  • 2020년 건설 산업 BIM 기본 지침 및 2022년 건설 산업 BIM 시행 지침 제정
  • 공기업의 기관별 특성에 따른 BIM 적용 지침 제정 가이드
  • BIM 적용의 일관성 확보 및 혼란 최소화, 산업 발전 도모

2. 기존 LH 및 GH의 BIM 적용 현황 및 한계:

지침 제정 전에도 일부 사업에 BIM 적용 (LH: 2020-2023년 31개 지구 조사, GH: 1천억 이상 공사 기본 요구)

지침 개발 이전 사업 성과물 분석 결과 충족도 67.7% 수준

  • 주요 부족 부분:건축/구조 분야 외 최소 부재 작성 미흡 (특히 공간 객체)
    • 모든 BIM 적용이 외주 중심의 BIM 전환 설계
  • BIM 전환 설계의 문제점:"설계는 기존 방식대로 계속 해오고 나중에 이제 실시 설계에 거의 끝마무리해서 이제 빔이 적용되는 그니까 실질적인 빔 설계라고 보기가 어렵죠 그러다 보니까 설계는 계속 바뀌는데 어 거기에 이제 빔이 추후에 이제 들어가게 되니까 이제 빔으로 빔 데이터나 빔 성과물과 어 실제 실시 설계 100% 승인 도서 간의 정합성이 떨어지게 되고 그니까도 설계 도서랑 빔이 안 맞으니까 이유 단계인 시공 단계나 유주 관리 단계에서도 어 활용성이 떨어지는 이제 그런 결과를 가져왔다라는 것이죠"
    • 성과물 중심의 BIM 전환 설계
    • 발주자 측면의 BIM 수행 관리 체계 부재
    • 지속 가능한 BIM 운영 체계 부재

3. 공기업 건축 BIM 적용 지침의 핵심 포인트:

  • 실질적인 BIM 프로세스 유도:설계 시작 단계 또는 공모 단계부터 BIM 활용
    • 선도적인 BIM 설계 프로세스 구축 및 산업 전파
    • 발주자의 BIM 기반 관리 체계 구축
  • 캐드 없이 BIM만으로 성과물 도출 프로세스 구축 및 가이드 개발: "궁극적으로는 캐드 없이 빔만 가지고 성과물을 낼 수 있는 그런 프로세스를 어 구축하고자 했고 거기에 대한 이제 가이드도 같이 개발을 했습니다"
  • 발주자 측면의 지속 가능한 BIM 운영 체계 구축:발주자의 적극적인 BIM 수행 관리 의지 중요
    • BIM 거버넌스 구축 강조
  • 실효적인 시공 BIM 프로세스:착공 단계부터 설계 검토 및 전문 건설사 참여 유도 (프리컨스트럭션 개념)
    • 건설 사업 관리자의 BIM 관련 책임과 역할 정의 및 반영
  • 유지 관리 단계를 고려한 준공 BIM 확보:연구 임대 등 공기업이 지속 관리하는 사업 고려
    • 준공 BIM 데이터 확보를 통한 유지 관리 효율성 증대

4. 현상 설계 공모 단계 BIM 요구 사항 (GH 사례):

기존 업계 반대에도 불구하고 시범적으로 현상 설계 공모 단계부터 BIM 적용 요구

  • 목적: BIM 수행 가능한 업체 유입 및 설계 BIM 프로세스 전파를 통한 건축 산업 발전 유도
  • 요구 사항:낮은 상세 수준에서의 설계 허용
    • BIM을 활용한 제출물 작성 (3차원 모델 및 정보 기반 이미지 활용)
  • 제출물 검토를 통한 BIM 수행 확인: "그런 어 실제로 그렇게 했는지를 이제 제출물 검토를 통해서 확인하겠다 음 그래서 이제 만약에 그렇게 하지 않으면은 이제 그런 부분들 이제 제대로 어 수행하지 않았다라는 거를 이제 검토 의견을 붙여서 이제 심사위원회에게 이제 보고하거나 아니면은 이제이 중대 검토 사항이나 이제 법규 위반 사항 같은 경우도 빔을 통해서 이제 검토하겠다 예"
    • BIM 데이터를 통한 중대 위반 사항 및 법규 위반 검토 (실격 처리 가능)
  • 버추얼 모델 제출 선택적 요구: 발주자의 심사장 활용 환경 고려

5. 턴키/기술 제안 사업 BIM 요구 사항:

설계 및 시공 수행 계획에 대한 BIM 수행 계획 평가 및 점수 반영

  • BIM 미활용 시 감점: "제 건당 어 0.2점씩 점씩 해서 최대 10점까지 감점하겠다 10점이면은 좀 큰 점수입니다 그래서 이제 BM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되게끔 그렇게 이제 유도하는 유도하는 부분이다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 메시지: BIM 전환 설계가 아닌 실제 실무자에 의한 BIM 수행 체계 요구

6. BIM 대가 방안:

설계 BIM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컨설팅 비용 지원 취지

  • LH와 GH의 관점 차이:LH: 기존 공기업 사업 대가가 민간 사업보다 많아 추가 비용 지원 불가
    • GH: 사업별 담당자가 반영 가능하도록 유연성 부여
  • 대가 수준: 컨설턴트 고용 수준의 기술 지원 비용

7. 건설 사업 관리자 선정 시 BIM 고려:

  • 제안서에 BIM 관련 내용 추가
  • BIM 수행 요구 사항 및 투입 인력 요구 사항 추가 (상주 1인, 비상주 1인)

8. BIM 거버넌스의 중요성:

  • BIM 운영 및 관리를 위한 조직, 인프라 통칭
  • 지속 가능한 BIM 거버넌스 체제 구축 필요: 경영진 변화 및 실무 담당자 순환에도 영향받지 않도록
  • 실무 담당자의 BIM 담당 기간 연장, 승진 인센티브, 시행 착오에 대한 심적 부담 완화 정책 필요
  • 선순환 개선형 BIM 수행 체계 구축: 지침 적용, 개선, 축적된 내용 교육 및 훈련

9. 적용 지침 구성 (발주자편, 설계자편, 시공자편):

  • 발주자편: 사업 착수 전 준비부터 사업 평가까지 전 과정 명시, 과업 내용 도출 및 수행 관리 기준 제공
  • 설계자/시공자편: 제한자/수급자가 참고할 내용 구성 (수행 환경, BIM 데이터 작성 최소 요구 사항 등)
  • 사업 특성에 따른 활용 분야 가감 및 감독관 협의 필요
  • BIM 구축 상세 수준 가이드라인 명시

10. BIM 도면 작성 가이드 및 기존 도면과의 차이점:

  • 캐드일 때의 도면 형태를 따르지 않고 BIM 특성을 살린 새로운 형태의 도면 제시
  • 3D 아이소메트릭 활용을 통한 이해도 및 구성 파악 용이성 증대
  • 태깅을 통한 정보 파악 용이성 향상

11. 시공자편 BIM 운영 가이드라인:

  • 착공 단계 프리컨스트럭션 개념 적용 유도
  • 전문 건설사와의 협업을 통한 시공상 문제점 조기 파악 및 해결에 BIM 활용: "가장 포커스를 두고 있는 거는 전문 건설사와 어이 종합 건설사 간의 협업을 통해서 어 시공상 문제점을 조기 파악하고 해결하는데 비빔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라 라는데 가장 큰 주한점을 어 두고 있다라는 것이죠"
  • 유지 관리용 준공 BIM 데이터 구축 (전용 부분 및 공용 부분 구분)

12. BIM 도입 성공을 위한 다섯 가지 변화 방향:

  • 인식 개선 (Attitude): BIM 도입에 대한 거부감 및 두려움 극복, 실무자에 의한 BIM 프로세스 전환, 강력한 BIM 거버넌스 체계 구축 (경영진 주도, 전사적 비즈니스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
  • 프로세스 개선 (Process): BIM 도입 시 가장 큰 변화는 협업, 원활한 협업을 위한 프로세스 개선 노력 필요 (특히 설계 하도급 용역 체계)
  • 대가 체계 변화 (Payment): 프로세스 변화에 맞춰 대가 체계 변화 필요, BIM을 통한 서비스 향상 및 책임 증가에 대한 대가로 접근
  • BIM 기반 언어 활용 (Language): 캐드에서 BIM으로 표현 및 의사소통 언어 변화, 설계에서 도면화까지 BIM으로 완성하는 기술 시대 도래
  • BIM 생태계 변화 (Ecosystem): 최저가 입찰 지양, 발주자-수급자 Win-Win 스마트 발주 방식 개발, BIM 기반 요구 소양 변화 (빔으로 표현/의사소통/분석 능력)

13. BIM 기술 트렌드 및 미래 전망:

  • AI와의 연계: 기획 단계부터 법규 검토, 수익성 분석,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 활용 (머신 러닝, LLM 등)
  • 클라우드 환경 협업 강화: AR/XR 기술 적용
  • BIM 데이터의 중요성: 인공지능이 설계 정보를 이해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최적화된 형태
  • 국내 BIM 소프트웨어 산업 활성화 방안: 시장 확대 (외주 중심에서 실무자 중심 전환), 외주 업체의 부가 가치 증대 (컨설팅 등)
  • BIM의 분업화 가능성: BIM 코디네이터, 매니저, 애널리스트, 디자이너/모델러 등 역할 분류 및 조직 구성

14. 주요 질문 및 답변:

  • 공기업 BIM 관련 매뉴얼 및 변경 주기: LH는 지침 및 실무 요령 공개, GH는 지침 제정 중, 주기적인 업데이트 예상 (2-3년)
  • BIM 기술 트렌드: AI 연계, 클라우드 협업, AR/XR 기술 활용 등
  • 동일 기본 모델의 랜덤 배치: AI를 통한 다양한 배치 안 생성 가능성 언급
  • BIM 전환 시 설계사/엔지니어 업체의 변화와 도전: 패러다임 변화로 초기 어려움 예상, 하지만 해외 사례처럼 효율성/생산성 향상 가능성 강조
  • BIM과 AI 결합 시 가장 혁신적인 변화: BIM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평가, 점검, 검증 효율성 증대 및 AI의 설계 과정 기여
  • 국내 BIM 관련 소프트웨어: 국내 제품 존재하나 시장 작아 활성화 어려움, 실무자 중심 BIM 도입을 통한 시장 확대 필요성 제기
  • BIM을 통한 해외 취업 가능성: 가능하며 실제로 해외에서 활동하는 사례 존재

결론:

공기업 건축 BIM 적용 지침은 기존 BIM 전환 설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질적인 BIM 기반 프로세스 구축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발주자의 적극적인 역할과 함께 산업계 전반의 인식 개선, 프로세스 및 대가 체계 변화, BIM 기반 언어 활용, 그리고 BIM 생태계 조성이 필수적이다. BIM은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건설 산업의 스마트화와 선진화를 위한 핵심 기반이며, AI 등 최신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더욱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BIM 도입은 단기적인 어려움이 따르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모든 프로젝트 참여자에게 혜택을 주는 도구이자 프로세스가 될 것이다.

 

 


NotebookLM을 이용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디이씨(D.E.C)

martin@dec-w.com

사업자 정보 표시
디이씨(DEC) | 이정희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항동로 128, 924호 | 사업자 등록번호 : 220-10-09832 | TEL : 070-8657-2850 | Mail : martin@dec-w.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24-고양덕양구-2952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