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M_이야기 (69)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료] The BIM 2025 Summer vol.31(빌딩스마트협회) The BIM 2025 Summer vol.31(빌딩스마트협회)BIM Reimagined: Expanding Boundaries Through Technological Convergence 다시 그리는 BIM의 경계: 기술 융합이 이끄는 변화 발행인 안대호 편집장 김정인(국민대학교) 부편집장 강태욱(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성진(한밭대학교) 김태완(인천대학교) 박만우(명지대학교) 서준오(홍콩이공대학교) 안용한(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 이용철(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 정운성(충북대학교) 정태승(오토데스크코리아) 지석호(서울대학교) 차승현(카이스트) 최중식(강원대학교) 허연숙(고려대학교) 고문 김인한(경희대학교) 이 강(연세대학교) 이진국(연세대학교) 통권 제 31호 발행처 ㈔빌딩스마트협회 홈페이지 http://.. [자료] AI와 함께 살아갈 세상, 불안과 희망(2024년 기술영향평가 결과보고) 책자 AI 기술 영향 평가: 휴머노이드, 브레인, 헬스케어 AI의 미래 ▶ 본 책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위탁을 받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서 시행한 사업(2024년 기술영향평가)의 결과물입니다. ▶ 발행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발행일: 2025년 9월 23일 요약2024년 기술영향평가는 인공지능(AI) 기술이 사회 전반에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그 안전성과 신뢰성을 선제적으로 점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평가는 인간과의 상호작용이 가장 밀접하고 잠재적 파급력이 큰 휴머노이드 AI, 브레인 AI, 헬스케어 AI 세 분야에 집중되었다. 본 문서는 평가를 통해 도출된 핵심 이슈와 미래 과제를 종합적으로 정리한 브리핑 자료이다. 휴머노이드 AI: 기반 모델(Foundation Mo.. [자료]BIM 교육훈련 및 자격 체계 현황_2025-06-30 BIM 교육훈련 및 자격 체계 현황 분석발행처: 한국건설기술연구원(오치돈)발행일: 2025-06-30초록: 개요 및 동향정부의 BIM 활성화 정책 BIM 교육훈련 현황법정직무교육에서의 BIM 교육 현황민간부문에서의 BIM 교육 현황 BIM 자격체계 현황스마트 건설 기술 자격BIM 민간자격 현황특집 기고문BIM 교육훈련 체계의 한계와 추진 방향BIM 자격체계의 한계와 추진 방향 Executive Summary본 브리핑 문서는 정부의 BIM 활성화 정책에 따른 국내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교육훈련 및 자격 체계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현행 제도의 한계와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정부는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을 시작으로 BIM 도입을 적극 추진하며, 건설기.. [자료]AI 시대의 BIM 전문인력 양성(한국건설기술연구원)_2025-06-30 AI 시대의 BIM 전문인력 양성: 핵심 인사이트 및 전략발행처: 한국건설기술연구원(함남혁)발행일: 2025-06-30초록: 개요 및 시장동향- AI 시대의 도래, 국내 건설산업은 준비되었는가? - 건설 프로젝트에서 BIM 도입의 방향 - 건설 프로젝트에서 AI의 역할과 응용 - AI 시대, BIM 전문인력 양상의 한계점 - 대학교 BIM 교육현황 및 문제점 - AI 시대, BIM 전문인력 양성의 방향 요약 (Executive Summary)건설 산업은 고질적인 생산성 저하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그 핵심 원인은 대기, 운반, 과잉가공 등 7가지 낭비 요인(Non-Value-Adding Effort)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AI, 로보틱스, 그리고 빌딩 정보 모델링(BIM)의 융합은 건설 산업의 디지털.. [자료]LH 건설사업 디지털 전환 전략 LH 건설사업 혁신을 위한 디지털 전환 전략 브리핑본 문서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 건설사업의 혁신을 위한 디지털 전환 전략을 종합적으로 분석 및 요약한다. 한국 건설산업은 생산성 저하, 기술인력 고령화, 지속적인 안전사고 등의 구조적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디지털 전환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적인 돌파구로 제시된다.핵심 전략 및 목표: LH의 디지털 전환은 "스마트건설 추진으로 건설사업 지속가능성 제고와 미래 혁신 선도"를 미션으로, "스마트건설 생태계를 조성하고 디지털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을 비전으로 설정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① 스마트 첨단생산, ② 디지털 선진관리, ③ 함께하는 미래산업, ④ 지속가능 인프라라는 4대 핵심가치를 기반으로 전략을 추진한다.핵심 .. 2025 스마트건설 챌린지 [단지•주택 분야 스마트 기술] 2025 스마트 건설 챌린지: 단지·주택 분야 기술 경연 브리핑요약본 문서는 국토교통부가 주최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주관한 '2025 스마트 건설 챌린지'의 단지·주택 분야 스마트 기술 경연 대회의 핵심 내용을 요약 및 분석한다. 본 행사는 단지·주택 건설 분야의 생산성 향상, 품질 및 안전 확보를 목표로 AI 기반 스마트 건설 기술을 발굴하고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예선을 통과한 총 6개 팀이 본선에 참가하여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였다. 주요 기술들은 건설 현장의 고질적인 문제인 안전사고 예방, 품질 관리의 한계 극복, 생산성 저하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두었다. 발표된 기술은 ▲이동식 크레인의 충돌 및 전도 사고를 예방하는 AI 기반 작업 관리 시스템 ▲레미콘의 품질을 사전 예측하고 생산을.. [자료]건축행정의 인공지능 대전환 - 인공지능 건축법령 시스템 개발 성과와 미래 정책 과제 건축행정의 인공지능 대전환 - 인공지능 건축법령 시스템 개발 성과와 미래 정책 과제발행처: 건축공간연구원작성일: 2025.09.23 원본출처: https://www.auri.re.kr/publication/view.es?mid=a10313000000&publication_type=brief&publication_id=2204&fbclid=IwY2xjawNHLbxleHRuA2FlbQIxMABicmlkETFoT2R4WUs4TDV4MTd0b1g4AR6ra_eOExtQD4m2FxGEB1A6uiWNUsL8pF4LizkqxkX4A8CdeQbCxEFruhH6YA_aem_Cxlb5I_zg0eatJzevQ6j2g 건축행정의 인공지능 대전환 - 인공지능 건축법령 시스템 개발 성과와 미래 정책 과제 | auri brief건.. [자료]2025년 6월 스마트건설 주요이슈(한국건설기술연구원)_2025-06-30 제목: 2025년 6월 스마트건설 주요이슈발행처: 한국건설기술연구원발행일: 2025-06-30초록: 스마트건설 주요이슈BIM 도입 의무화'레고 블록'처럼 짓는 모듈러 공법 확산해외 동향사우디아라비아 네옴 프로젝트의 지연 및 축소 조정중국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 현황독일 GBC Engineers GmbH의 BIM 기술 적용 사례국내 동향포스코이앤씨, 「IoT기반 철근 스마트 품질관리 시스템」 개발DL건설, 롯데건설, 두산건설, 제이테크이엔씨, 「녹색기술 인증 획득」... 탄소감축형 엘리베이터 피트 기술 개발HD현대, 스마트해진 건설기계 신모델 서울 모빌리티쇼서 선봬원본출처:https://www.codil.or.kr/viewDtlTchDevNews.do;jsessionid=zSCHO1c3vqeb1fQINqXo.. 이전 1 2 3 4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