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IM_Guide

서울형 설계 BIM 적용지침(도로설계 편)_2025-06

서울형 설계 BIM 적용지침(도로설계 편)

 

 

 

발행처: 서울시 건설기술정책관 기술심사담당관

등록일: 25.07.03

자료출처: https://news.seoul.go.kr/citybuild/?p=52823

 

서울시 주택 분야별 사이트 메인

서울시가 추진하는 주택, 건축, 허가, 녹색건축, 주거, 뉴타운, 재개발, 실태조사, 전세, 월세, 위원회, 부동산, 마곡 분야의 정책, 사업, 자료, 최신소식을 공유합니다.

news.seoul.go.kr

 

 


음성개요(내용설명):

 

첨부파일(문서): 

서울시 BIM 적용지침_도로설계 편_s.pdf
18.39MB

 

서울시 도로설계에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적용하기 위한 상세 지침을 제공합니다. 지침은 적용 범위, 각 주체의 역할과 책임, 그리고 용어 정의와 같은 일반적인 사항으로 시작하여 BIM 데이터의 작성 및 품질검토 기준을 명확히 제시합니다. 특히, 계획 및 실시설계 단계에서의 BIM 활용 목표와 분야를 구체화하며, 도로, 교량, 터널 등 주요 공종별로 BIM 데이터 상세 수준(LOD) 및 작성 기준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또한, BIM 기반의 설계도면 작성과 수량 산출 기준, 그리고 설계 오류 및 간섭 검토, 다양한 시뮬레이션 등 BIM의 실제 적용 사례와 그 활용 결과를 부록으로 함께 제시하여 BIM 도입의 목적과 수행 절차를 총체적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1. 일반사항

1.1 지침의 목적 및 위계

  • 목적: 서울시 도로 건설 사업의 BIM 기반 설계 업무에 필요한 공통 기준을 정하고, 체계적이고 일관된 BIM 데이터 확보 및 설계 단계 활용 방안을 연계하여 최적의 성과품을 도출합니다.
  • 위계: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및 '건설산업 BIM 시행지침'을 기반으로 하는 Level 2-1(분야별 BIM 적용지침)의 도로 분야 지침입니다.

1.2 지침의 구성 및 기본원칙

  • 구성: 총 6개 장(일반사항, 발주단계 및 요구사항, BIM 데이터 작성기준, BIM 성과품 작성 및 납품기준, BIM 성과품 품질검토 기준, BIM 설계 및 활용) 및 부속서로 구성됩니다.
  • 적용원칙: 서울시 과업지시서, 시방서, 입찰안내서가 1순위로 적용되며, 본 지침은 2순위입니다.

1.3 지침의 적용범위

  • 적용 대상: 서울시에서 발주하는 'BIM 기반 도로 건설 사업'의 토공, 배수공, 교량공, 터널공, 포장공, 부대공 등 전체 공종을 대상으로 합니다. 드론 측량 및 지반조사 결과를 활용한 지형/지층 데이터 구축도 포함됩니다.
  • 적용 단계: 기본설계, 실시설계, 기본 및 실시설계를 대상으로 하며, 향후 시공 및 유지관리 BIM 적용 시에도 준용될 수 있습니다.
  • 적용 업무 및 수준: '과업내용서(BIM 설계 포함)'에 근거하며, 설계 단계의 성과품을 BIM 모델로부터 추출, 작성, 납품할 수 있도록 우선 적용합니다.

1.4 BIM 사업 관련 역할, 책임 및 권한

  • 수행 주체별 역할 및 책임:발주자(서울시): BIM 발주 및 수행 관련 계획, 시행, 관리 및 조정 총괄. BIM 성과품 품질 검토 수행.
  • 건설사업관리기술인: 서울시로부터 위임받은 BIM 사업 관리 업무 수행 (계획, 관리, 조정, 검토 및 승인).
  • 수급인(설계자): 서울시의 BIM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BIM 데이터 작성, 활용, 검토 및 납품. 'BIM 수행계획서' 제출 및 승인, 품질 기준에 따른 사전 검수 및 보완.
  • BIM 데이터에 대한 책임과 권한:책임: 수급인은 성과품 납품 시 설계 도서와 BIM 데이터 내용의 일치를 보장해야 합니다. BIM 데이터 원본 파일의 개방형 표준(예: IFC) 변환 책임도 수급인에게 있습니다.
  • 권한: BIM 성과품 및 원본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 및 소유권은 발주자(서울시)에게 있으며, 시공 및 유지관리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작성되어야 합니다.
  • 보안: 수급인은 보안 관리에 최선을 다해야 하며, 서울시의 사전 승인 없이 BIM 데이터를 제3자에게 누설, 전달해서는 안 됩니다. CDE(공통 데이터 환경) 제공이 어려운 경우 수급인이 협업 플랫폼 구축 및 관리 방안을 'BIM 수행계획서'에 반영해야 합니다.

1.5 용어 및 관련 근거

  • BIM (건설정보모델링): 시설물 생애주기 동안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3차원 모델 기반으로 통합하여 건설 정보와 절차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상호 연계하고 디지털 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전환 체계.
  • BIM 설계: BIM 저작 도구를 통해 BIM 모델을 작성하고, 도면, 수량 등 필요한 설계 도서를 BIM 모델로부터 추출하는 일련의 과정. 전면 수행 방식을 원칙으로 하되, 조건에 따라 병행 또는 전환 수행 방식도 가능.
  • BIM 데이터 상세수준 (LOD): BIM 데이터의 상세수준에 대한 공통 용어로, 100~500의 6단계로 구분되며, 각 단계는 생애주기 단계별 모델 상세수준을 정의합니다. (LOD: Level of Development와 혼용)
  • 공통정보관리환경 (CDE): 업무 수행 과정에서 다양한 주체가 생성하는 정보를 중복 및 혼선 없이 모두가 함께 보고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환경.
  • 개방형 BIM (Open BIM): 공개 표준을 체계적인 절차에 따라 사용함으로써 특정 소프트웨어에 귀속되지 않고 정보의 원활한 공유, 교환 및 일관성 있는 업무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BIM 적용 방식.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 및 LandXML 등의 국제 표준 규격 활용.

2. 발주단계 및 요구사항

2.1 발주단계 개요

  • 서울시의 BIM 기반 발주 절차는 발주 계획부터 입찰, 평가, 성과품 검토 및 관리에 이르는 기본적 절차와 수급인에게 요구하는 BIM 요구사항을 제시합니다.

2.2 발주단계별 세부내용

  • BIM 발주계획 수립: BIM 활용 목적, 적용 대상, 활용 방안 및 요구사항 등을 검토하여 최종 발주 계획을 수립합니다. 설계 단계 BIM 활용 목적은 설계 변경 최소화, 적정 공사비 산출, 안전 관리 및 민원 대응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BIM 발주문서 작성: BIM 발주 계획과 방법에 따른 발주 문서를 작성하며, 'BIM 과업지시서'를 기초로 '서울시 BIM 요구사항정의서'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 평가 및 선정: 수급인이 제출한 입찰 서류와 'BIM 과업수행계획서'를 평가하여 낙찰자를 선정합니다.
  • 계약 및 보완: 최종 선정된 수급인은 'BIM 수행계획서'를 제출하고 서울시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BIM 모델의 오류/누락 등 품질에 대한 책임은 수급인에게 있습니다.
  • 수행 및 관리: 서울시는 BIM 사업 진행 상황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하며, BIM 데이터 검토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활용합니다.
  • 납품 성과품 품질 검토: BIM 성과품이 서울시 요구사항 및 품질 검토 기준에 따라 적절하게 작성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입니다.
  • 성과품 관리: 서울시는 최종 제출된 BIM 성과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향후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 이관합니다.

2.3 발주자 요구사항

  • 발주자 BIM 요구사항 정의: 사업 특성과 규모에 맞춰 합리적인 활용 방안, 전략 및 데이터 구축 등에 대한 '서울시 BIM 요구사항'을 정의합니다.
  • BIM 수행조직 및 인프라 구성:수행조직: BIM 관리자 및 세부 분야별 담당자를 두어 조직이 원활하게 업무를 수행하도록 명시합니다.
  • 인프라: 하드웨어(컴퓨터, 저장장치, 네트워크 등) 및 소프트웨어(BIM 저작 도구 및 관련 S/W) 구비 조건을 제시합니다.
  • BIM 상세수준: BIM 모델의 상세수준(LOD)을 정의하며, 상위 기준 및 지침과 통일된 표준을 따릅니다. BIM 데이터의 형상정보 상세수준(LOD)과 속성정보 상세수준(LOI)으로 구성됩니다.
  • 적용: 기본 설계(LOD 100~200), 실시 설계(LOD 200~350) 등 단계별로 BIM 데이터의 활용성, 투입 시간, 용량 등을 고려하여 상세수준을 결정합니다.
  • BIM 모델:모델 구성 기준: 사업 범위 및 특성에 맞는 BIM 모델 구성 체계를 정의하고, 공구별, 공간별, 공종별 등으로 파일 분리 및 통합 관리 기준을 제시합니다.
  • 모델링 대상 범위: BIM 데이터 작성 시 모든 단위 객체는 구조물의 부위 단위로 구분하며, 도로, 교량, 터널, 포장, 부대공 등의 공종을 포함합니다.
  • 분류체계 정의: 작업분류체계(WBS), 내역분류체계(CBS)를 우선적으로 정의하여 활용하며, BIM 객체분류체계(OBS)의 구성 기준과 적용 기준도 제시할 수 있습니다.
  • BIM 속성: 객체 종류 및 객체별 속성(식별, 형상, 재료 및 코드 등)을 정의하고, 생성 속성(기하 치수, 단위 등)과 입력 속성(모델 객체 정보, 공통 속성 정보, WBS 분류 체계, 기준 좌표, 공정 정보 등)을 구분하여 작성합니다.
  • BIM 성과품 작성 및 납품:구성 기준 및 절차: 국토교통부의 '도로 하천분야 전자 설계도서 작성 납품 지침'을 따르며, BIM 데이터(원본, 표준 포맷)와 BIM 관련 문서(수량산출서, 시뮬레이션 자료, 수행계획서, 결과보고서 등)를 포함합니다.
  • 파일 포맷: 상용 소프트웨어로 작성된 BIM 원본 데이터와 IFC 포맷을 필수적으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
  • 성과품 목록 및 포맷: 필수 성과품(BIM 데이터, 보고서, 설계도면, 수량산출서 등)과 선택 성과품(활용 자료, 시뮬레이션 결과 등)으로 구분합니다.
  • BIM 성과품 품질 검토: 물리(모델 오류, 간섭, 형상), 논리(설계 기준 및 법규 적합성, 인터페이스), 데이터(속성 정보 정합성, LOD 수준, 물량 산출 결과, 데이터 용량) 품질 검토를 수행합니다.

3. BIM 데이터 작성기준

3.1 BIM 적용 절차

  • 서울시 건설사업의 발주부터 성과품 납품 관리까지의 공통 BIM 적용 절차를 제시하며, 각 주체별 수행 내용을 단계적으로 규정합니다.

3.2 BIM 데이터 구축환경

  • BIM 조직의 편성: BIM 총괄 관리자(Manager)와 분야별 관리자(Coordinator)를 포함한 전문 인력으로 조직을 구성해야 합니다.
  • BIM 업무수행 계획관리: 'BIM 과업수행계획서'를 작성하고 사업 종료 시까지 버전 관리를 해야 합니다.
  • BIM 업무수행 방식: 전면 수행 방식을 원칙으로 하며, 기술적 제약 발생 시 담당 감독원과 협의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 BIM 데이터 작성 대상 범위: 'BIM 수행계획서'의 모델링 대상 범위를 우선 적용하며, 세부 시설 및 공종에 대한 작성/제외 항목을 명기하고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 BIM 저작도구: 특정 저작 도구로 한정하지 않으며, 과업내용서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표준 파일 포맷을 지원하는 도구를 사용합니다. IFC, LandXML 등을 표준 파일 포맷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BIM 협업 환경 (CDE): 실시간 정보 공유, 변경/승인/공유 절차 관리를 위한 정보 공유 환경입니다. 서울시가 CDE 시스템을 제공할 경우 이를 우선 적용하며, 미구축 시 수급인이 협업 플랫폼 구축 방안을 제시해야 합니다. ISO 19650 기반의 주요 기능을 충족해야 합니다.
  • BIM 표준 적용: 공통 표준(BIM 데이터 상세수준, 도면 작성 표준, 수량산출 기준 등)을 우선 적용하며, 국토교통부의 최신 분류 체계(건설정보분류체계, 작업분류체계(WBS), 비용분류체계(CBS), 객체분류체계(OBS))를 따르거나 자체적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개방형 표준(IFC, COBie, LandXML 등)을 활용하여 BIM 데이터의 상호 운용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 BIM 데이터 교환: 다양한 플랫폼 간 상호 운용성 확보를 위해 BIM 데이터를 국제 표준 형식(IFC)으로 변환하여 원본 데이터와 함께 제출해야 합니다.
  • BIM 라이브러리: 부대 시설, 공사용 자재, 건설 장비 등에 대한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거나 기 구축된 것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BIM 데이터의 구성 체계: 서울시 요구사항 및 사업 특성에 맞춰 BIM 데이터 구성 체계를 'BIM 수행계획서'에 명기하고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파일 용량을 고려하여 여러 파일로 분리하여 작성할 수 있습니다 (권장 파일 크기 최대 200MB).
  • BIM 데이터 통합 관리 및 활용: 공종 분야별 BIM 데이터 파일을 구분하여 작성하며, 좌표 체계 연동 등을 통해 물리적 간섭 없이 통합되고 논리적 정보 또한 오류 없이 통합 운영되도록 관리합니다.

3.3 BIM 데이터 작성기준

  • 일반사항: 도로 건설 사업의 BIM 데이터 작성에 필요한 기본 요구사항과 기준을 정하여 체계적이고 일관된 BIM 데이터 확보를 목표로 합니다. 비객체 형상 정보는 제외하고 속성 정보를 포함한 3차원 BIM 데이터 작성을 원칙으로 합니다. BIM 및 2D 설계 도면은 동일한 사업 기준 좌표계를 적용해야 합니다 (세계 측지 좌표와 일치).
  • 작성절차: 입찰 서류 분석, BIM 수행계획 수립, 프로젝트 지침 구성 등 선행 업무를 진행한 후 BIM 데이터를 작성하고 통합 모델 구성 및 적정성 검토를 수행합니다.
  • 단위 및 축적: 연장 단위는 미터(m) 또는 밀리미터(mm)를 적용하며, 축척은 1:1 적용을 원칙으로 합니다.
  • 좌표계 및 표고: 지구 중심 좌표계(GRS 80 타원체)에 따른 위도 경도 표현 체계 및 평면 직각 좌표계(TM) 기준을 적용하며, 지형 및 시설물의 3차원 좌표는 세계 측지 좌표와 일치해야 합니다.
  • 지형/지층: 수치 지형도, 현황 측량도, 지질 분석 보고서 등을 활용하여 3차원 지형 모델을 구축하며, 지층 모델은 보링 조사 결과 등을 활용하여 TIN(불규칙 삼각망) 방식으로 작성합니다.
  • BIM 데이터 상세수준: 사업 수행 단계별로 요구되는 BIM 모델 상세수준을 준수하여 작성합니다. 형상 정보 상세수준(LOD)과 속성 정보 상세수준(LOI)으로 구성됩니다.

3.3.3 도로분야 BIM 데이터 작성

  • 일반사항: 도로분야 BIM 데이터는 평면선형, 종단선형, 횡단 구성, 토공, 배수공, 포장공, 부대공 등을 포함하며 관련 설계 기준에 부합해야 합니다.
  • 노선 선정: 노선선정 단계에서는 BIM 기반 시각화 정보를 활용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노선선형 비교안을 BIM 데이터로 작성합니다.
  • 출입시설 형식 결정: 입체교차로의 형식 선정은 BIM 데이터를 통해 여러 형식을 비교 검토하고 필요시 주행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합니다.
  • 무인비행장치 측량: 무인비행장치(UAV)를 이용한 지형 측량 결과물을 활용하여 지형 현황도(1/1,000도)를 작성하고 BIM 데이터 작성에 활용합니다.
  • 지형 데이터: 계획 단계(1/5,000도 이상) 및 실시 설계 단계(1/1,000도 이상)에 맞는 정밀도를 가져야 하며, 좌표 정보와 표고 정보를 포함해야 합니다.
  • 지층 데이터: 보링 조사를 통해 얻어진 지층 데이터를 근거로 TIN 방식으로 작성하고 토질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지층 데이터를 구축합니다.
  • 토공 설계: 흙깎기, 흙쌓기 비탈면, 옹벽 등으로 구성하며, 계획 단계(LOD 200), 실시 설계 단계(LOD 200~300) 수준으로 작성합니다.
  • 배수공 설계: 도로의 배수 시설은 표면 배수, 지하 배수, 횡단 배수로 구분하며, 계획 단계(LOD 100~200), 실시 설계 단계(LOD 200~350) 수준으로 작성합니다.
  • 포장공 설계: 본선 포장, 연결로 포장 등으로 구분하여 작성하며, 계획 단계(LOD 200), 설계 단계(LOD 200~350) 수준으로 작성합니다.
  • 부대공: 안전 시설물과 부대 시설물로 구분하여 작성하며, 계획 단계(LOD 100~200), 설계 단계(LOD 200~350) 수준으로 작성합니다.

3.3.4 교량분야 BIM 데이터 작성

  • 일반사항: 교량 구조물은 도로 선형을 기준으로 설계되므로 평면 및 종단 선형 계획을 반영해야 하며, 편경사와 변화 구간이 반영된 BIM 데이터를 작성해야 합니다.
  • 교량 계획: 계획 단계 BIM 데이터는 LOD 200 수준으로 노선 자문 시 교량 시/종점 계획 검토, 경관 검토, 경간장 검토, 형식 선정 등에 활용합니다.
  • 실시 설계: 실시 설계 단계는 LOD 200~350 수준으로 평면선형, 종단선형, 횡단경사 등을 반영한 BIM 데이터를 작성하며, 항목별로 BIM 기반 수량 산출 및 도면 작성이 가능해야 합니다.

3.3.5 터널분야 BIM 데이터 작성

  • 일반사항: 터널 구조물은 도로 선형을 기준으로 설계되므로 평면 및 종단 선형 계획을 반영해야 하며, 횡단경사와 변화 구간이 반영된 BIM 데이터를 작성해야 합니다.
  • 터널 계획: 계획 단계 BIM 데이터는 LOD 200 수준으로 최종 노선 선정 시 갱구 위치, 갱문 형식 선정, 시설 한계를 고려한 단면 계획 등에 활용합니다.
  • 실시 설계: 실시 설계 단계는 LOD 200~350 수준으로 작성하며, 항목별로 BIM 기반 수량 산출 및 도면 작성이 가능한 수준으로 작성합니다.

3.3.6 BIM 데이터 속성 작성

  • 서울시는 사업 특성에 맞게 입력 속성 대상을 정의하고 수급인은 이에 따라 BIM 데이터를 작성해야 합니다.
  • 속성 구성 체계는 객체 종류 및 객체별 속성(식별, 형상, 재료 및 코드 등)을 분류 체계를 대상으로 선정합니다.
  • 입력 속성으로는 모델 객체 정보, 공통 속성 정보, 국토교통부의 WBS 분류 체계, BIM 모델 기준 좌표, 공정 정보 및 기타 정보로 구분하여 작성합니다.

4. BIM 성과품 작성 및 납품기준

4.1 BIM 성과품 작성기준

  • 일반사항: 설계가 완료된 BIM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면 작성, 수량 산출 및 보고서를 작성합니다. 'BIM 설계도면 작성 기준 및 예시', 'BIM 수량산출 기준 및 예시'를 참고하여 성과품을 작성합니다.
  • BIM 수행계획서 작성기준: 과업 착수 단계에 BIM 적용의 목표 및 활용 계획을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BIM 수행계획서를 수립해야 합니다.
  • 설계도면 작성기준: BIM 기반 설계 도면은 BIM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작성하며, 임의 변경을 금지합니다. BIM 데이터로 작성이 불가능한 개념도, 설계 기준, 2D 표준도 등은 보조 도면으로 작성합니다. 3차원 표현을 위한 아이소메트릭 뷰(Isometric view)를 권장합니다.
  • 수량산출 작성기준: BIM 도구에서 직접 작성되거나 BIM 데이터로부터 기초 데이터를 추출하여 작성합니다. BIM 기반 수량은 '1차 수량'으로 정의하며, 기존 방식으로 산출하는 수량은 '2차 수량'으로 구분합니다. 1차 수량은 임의 변경을 금지합니다.
  • BIM 결과보고서 작성: BIM 수행 결과 및 성과 내용을 보고서 형식으로 작성하여 일반 보고서에 수록합니다.

4.2 BIM 성과품 납품기준

  • BIM 성과품 제출 및 납품방법: 성과품 데이터 파일은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상태로 제출하며,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여 파일 크기를 최소화합니다. 원본 데이터는 압축하지 않고, IFC 파일은 압축하여 관리합니다.
  • 설계도서와 BIM 데이터의 일치: 납품 시 제출된 설계 도서는 BIM 데이터와 일치해야 합니다.
  • BIM 성과품 납품절차: 사전 품질 검토, 품질 검수 및 보완 지시, 보완 및 승인 절차를 거쳐 최종 납품합니다.
  • BIM 데이터의 보안: 수급인은 관계 법규에 따라 보안 관리에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 성과품 목록 및 포맷: 필수 성과품과 선택 성과품으로 구분하며, 설계 도서는 각 원본과 함께 PDF 형식으로 제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BIM 성과품 폴더체계: BIM 분류 체계를 적용하여 폴더를 구성하고 성과품을 관리합니다.
  • BIM 성과품 파일명 구조: 일관성을 갖도록 부여하며, 공종 및 구간, 건물 번호, 건물명에 대한 분류나 버전 및 날짜 등에 코드를 조합하여 사용합니다 (예: GB07_E_AB_BR01_RVT.IFC).

5. BIM 성과품 품질검토 기준

5.1 BIM 성과품 품질검토 일반사항

  • 품질 검토 정의: 서울시의 발주 문서, 요구사항 및 상호 협의 사항에 부합하도록 BIM 데이터와 그로부터 추출하거나 연계하여 작성한 성과품 일체의 물리적, 논리적, 속성 데이터 품질을 확보하고 서울시가 이를 확인 및 검수하는 것을 말합니다.
  • 품질 검토 목적: BIM 데이터 및 관련 성과품의 일관성, 정확성 및 무결성을 보장하여 문제점을 조기에 발견하고 건설 사업에 원활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 품질 검토 원칙: 서울시가 발주 단계에서 제시한 BIM 과업지시서와 서울시 BIM 요구사항을 토대로 BIM 데이터 및 성과품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5.2 품질검토 기준 및 방법

  • 품질 검토 기준: 성과품 구성의 적절성, 성과품 모델의 형식(폴더 체계, 파일명, 포맷, 버전 등), 성과품 제출 조건(미디어 제작, 바이러스 감염 여부 등)을 확인합니다.
  • BIM 데이터 품질 검토 항목:물리적 품질: 모델 오류, 간섭(중첩, 충돌) 검토, BIM 모델 객체의 위치 및 형상 검수.
  • 논리적 품질: 설계 법규 및 기준 부합 여부, 인터페이스, 작업 공간 확보, 건설 장비 운영 공간 확보, 이동 동선 확보 등.
  • 데이터 품질: 공종 객체에 따른 속성 정보 부여 정합성, 형상 및 LOD/LOI/BIL 수준 검토, 물량 산출 결과, 데이터 용량 검토.
  • 품질 검토 시기:납품 전 품질 검토: 설계자는 BIM 데이터 활용 전에 자체적으로 BIM 데이터 품질 검토를 수행하고, 미흡한 경우 수정 및 보완 작업을 수행합니다.
  • 납품 후 품질 검토: 담당 감독원은 수급인이 납품한 BIM 성과품을 대상으로 품질 검토를 실시하며, 필요시 추가적 품질 검수를 수행하고 보완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품질 검토 방법: 육안으로 확인하는 수동적 방법과 검수 시스템, 검토 지표(Rule Set), 상용 프로그램 등을 활용하는 자동적 검토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6. BIM 설계 및 활용

6.1 BIM 설계 활용 개요

  • 목적 및 정의: BIM 설계는 BIM 데이터와 스마트 건설 기술을 융합하는 설계 기법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최적의 설계 성과품을 도출합니다. 서울시의 BIM 설계는 기본 설계부터 실시 설계까지의 전 과정 업무를 BIM 데이터를 통해 계획, 설계 및 성과품을 작성하는 "BIM 전면 수행 방식"을 의미합니다.
  • 원칙: 서울시는 발주자 BIM 요구사항을 작성하고, 수급인은 BIM 수행계획서, BIM 결과보고서를 작성합니다. 적용 대상은 서울시 도로 건설 사업의 BIM 설계 과업입니다.
  • BIM 활용 개념도: 각 설계 단계에서 요구하는 상세수준에 맞는 통합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업성/설계 품질 검토(노선 검토, 설계 VE 지원, 간섭 검토, 설계 오류 검토 등) 및 시공성 검토(4D 시뮬레이션 활용 공정 관리, BIM 기반 수량 산출, 주행성 검토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6.2 BIM 설계 활용 예시

  • 배수 시뮬레이션: 실시 설계 VE 단계에 수행하며, 물고임 예측, 비탈면 배수 계획 검토, 배수 시설 보완 등에 활용합니다. LOD 300 수준의 BIM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 도로 주행 시뮬레이션: 계획 단계와 실시 설계 단계에 수행하며, 운전자 중심의 주행성 검토, 시거 제약, 시설물 시인성 등을 시각화하여 안전성을 검토합니다.
  • 교통 분석 시뮬레이션: 계획 단계에 수행하며, 분기점 및 나들목 형식 선정 시 교통 수요 분석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나리오별 교통 분석 결과를 시각화합니다.
  • 일조/일영 시뮬레이션: 계획 단계와 실시 설계 단계에 필요시 수행하며, 터널 출구부 직광 영향, 도로 결빙 발생 예측 구간, 구조물로 인한 일조 피해 영향 등을 검토합니다.
  • 경관성 검토 시뮬레이션: 계획 단계와 실시 설계 단계에 필요시 수행하며, 노선 선정, 선형 계획 시 운전자의 시각적 특성을 반영한 근경, 중경, 원경역을 고려하여 분석합니다.
  • BIM 활용 성과품: 배수, 도로 주행, 교통 분석, 일조/일영, 경관성 검토 등 시뮬레이션 결과물을 말하며, 동영상 파일, BIM 데이터 파일, 수치 해석 입출력 데이터, 보고서 등으로 제출합니다. LOD 200 수준 이상의 BIM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 BIM 기반 안전 설계: BIM 설계 모델을 활용하여 안전 위험 요소 도출 및 안전 대책 수립을 위한 업무를 말합니다. 「설계안전성검토」 결과에 따른 안전 대책과 잔여 위험 요소를 BIM 데이터에 위치 기반 안전 정보로 표시합니다. 7대 위험 공종(흙막이 가시설, 교량 거더 가설, 고소 구간 추락 방지, 확장 공사 교통 전환 처리, 특수 교량 장비 운영, 기존 구조물 철거, 터널 굴착 및 버력 처리)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안전 대책 수립을 지원합니다.

부속서 1: BIM 설계도면 작성 기준 및 예시

  • 일반사항: 서울시 도로 분야 BIM 사업에 적용되며, BIM 데이터로 작성이 불가능한 개념도, 설계 기준, 상세도, 2D 표준도 등의 경우 보조 도면으로 작성합니다.
  • 작성 원칙: BIM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작성하며, 임의 변경을 금지합니다.
  • 설계도면 작성 대상 및 형상 표현: BIM 데이터는 모델의 상세수준에 따라 작성하며, 대분류(일반, 토공, 배수공, 옹벽공, 포장공, 부대공, 교량공, 터널공)별 견본 도면 목록을 제시합니다.
  • 도면 작성 절차 및 방법: Autodesk Revit 및 Civil 3D를 활용한 교량공, 토공 도면 작성 절차 및 방법 예시를 포함합니다.

부속서 2: BIM 수량산출 기준 및 예시

  • 일반사항: 서울시 도로 분야 BIM 사업에 적용됩니다.
  • 수량산출 정의:1차 수량: BIM 데이터로부터 추출 가능한 자동 또는 연동 수량.
  • 2차 수량: BIM 데이터를 작성하지 않거나 기존 방식으로 산출하는 수동 수량.
  • BIM 기반 수량 작성 원칙: BIM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산출하며, 1차 수량의 임의 변경을 금지합니다. 최종 목적 구조물(BIM 데이터)로 형상 표현이 가능한 공종을 수량 산출 대상으로 합니다.
  • 설계 수량산출 방법: BIM 기반 수량은 1차 수량으로 정의하며, BIM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수량산출 절차 및 방법: Autodesk Revit을 활용한 교량공 수량 산출 절차 및 방법 예시를 포함합니다.
  • 수량산출 목록 예시: 도로 분야 공종 수량 목록(토공, 비탈면 안정공, 배수공, 구조물공, 지하차도공, 터널공, 포장공, 교통안전시설공, 부대공)을 제시하고, 1차 수량(LOD, 산출 방식 표기)과 2차 수량(미표기)을 구분하여 표기합니다.

 

 


NotebookLM을 이용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디이씨(D.E.C)

martin@dec-w.com

사업자 정보 표시
디이씨(DEC) | 이정희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항동로 128, 924호 | 사업자 등록번호 : 220-10-09832 | TEL : 070-8657-2850 | Mail : martin@dec-w.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24-고양덕양구-2952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