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IM_Tech/자료(문서)

[자료]LH 건설사업 디지털 전환 전략


LH 건설사업 혁신을 위한 디지털 전환 전략 브리핑

본 문서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 건설사업의 혁신을 위한 디지털 전환 전략을 종합적으로 분석 및 요약한다. 한국 건설산업은 생산성 저하, 기술인력 고령화, 지속적인 안전사고 등의 구조적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디지털 전환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적인 돌파구로 제시된다.

핵심 전략 및 목표: LH의 디지털 전환은 "스마트건설 추진으로 건설사업 지속가능성 제고와 미래 혁신 선도"를 미션으로, "스마트건설 생태계를 조성하고 디지털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을 비전으로 설정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① 스마트 첨단생산, ② 디지털 선진관리, ③ 함께하는 미래산업, ④ 지속가능 인프라라는 4대 핵심가치를 기반으로 전략을 추진한다.

핵심 추진 방안: 전략의 핵심은 두 개의 주요 플랫폼 구축에 있다.

  1. 디지털 LH 스마트건설 통합플랫폼: 데이터 기반의 업무 지원을 통해 시공단계의 관리 및 진행 업무를 혁신하는 '업무혁신' 플랫폼이다.
  2. 미래생산 플랫폼: OSC(탈현장건설), 건설로봇, 자동화 장비 등을 활용하여 탈현장, 탈인력, 자동화를 지향하는 '생산혁신' 플랫폼이다.

현황 및 과제: 국내외적으로 스마트건설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으나, 국내 민간 부문은 업체 규모에 따라 기술 역량이 양극화되는 현상을 보인다. LH 내부 인식조사 결과, 스마트건설기술에 대한 직원들의 지식 수준(5점 만점에 3.43)은 보통 수준이나, 실제 사용 경험(20.8%)은 낮아 이론과 실제 간의 격차 해소가 시급한 과제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해서는 기술 도입뿐만 아니라 제도, 인력, 조직문화 등 비기술적 요소에 대한 균형 있는 고려와 변화 관리가 필수적이다.

결론: 본 전략은 LH가 공공 발주기관으로서 건설사업의 품질과 안전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나아가 국내 건설산업의 디지털 생태계를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프레임워크와 중장기 로드맵을 제시한다.


원본출처: 

https://lhri.lh.or.kr/web/rsrchReprt/RsrchReprtForm.do?menuIdx=&reprtId=2572

 

토지주택연구원

우)34047 토지주택연구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539번길 99(전민동) <!-- 2022.07.15 박은주 주임 원장님 지시사항 요청 Tel : 042-866-8400 email : lhi@lh.or.kr --> Copyright ⓒ By land & housing institute. All rights

lhri.lh.or.kr

 

원본문서: 

연구보고서_LH 건설사업 혁신을 위한 디지털 전환 전략 수립.pdf
15.61MB

 

이 연구보고서는 LH 건설사업 혁신을 위한 디지털 전환 전략 수립을 목적으로 하며, 건설 분야에서의 디지털 전환(DX) 이론, 현황, 그리고 구체적인 로드맵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보고서는 디지털 전환을 단순히 자료를 전산화하는 단계를 넘어 데이터를 활용하여 조직의 업무 방식과 비즈니스 모델을 완전히 변화시키는 과정으로 정의합니다. 핵심 주제는 BIM, 디지털 트윈, 메타버스, 로보틱스 등 스마트 건설 기술의 개념과 발전 수준을 분석하고, 국내외 민간 및 공공 부문의 디지털 전환 추진 사례를 상세히 제시하는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보고서는 LH의 현행 업무를 분석하여 디지털 기술 적용을 위한 업무 유형별 처리 방식을 제안하고, 건설 산업의 혁신과 지속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는 중장기 스마트 건설 로드맵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1. 디지털 전환의 개념과 필요성

디지털 전환의 정의와 단계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단순히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화(Digitization)하거나 IT 기술을 업무 프로세스에 적용하는 디지털화(Digitalization)를 넘어, **"데이터를 활용하여 조직의 업무방식, 조직문화, 비즈니스 모델 등을 디지털 기반으로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는 새로운 가치 창출을 목표로 하며, 기술 외에 인력, 조직, 문화 등 비기술적 요소의 변화가 성공의 핵심 요인으로 꼽힌다.

구분 디지트화 (Digitization) 디지털화 (Digitalization) 디지털 전환 (Digital Transformation)
초점 데이터 변환 정보 처리 지식 활용
목표 아날로그 형식을 디지털 형식으로 변경 기존의 업무 운영 및 프로세스 자동화 조직문화, 일하는 방식, 사고방식 등 변화, 새로운 가치 창출
활동 종이 문서, 사진 등의 디지털 형식 변환 완전한 디지털 작업 프로세스 생성 새로운 디지털 회사 설립이나 디지털 회사로의 전환
한계 부피 (물질) 가격 (재정) 변화에 대한 저항 (인적자원)
예시 종이 등록 양식 스캐닝 완전한 전자 등록 프로세스 등록부터 콘텐츠 전달까지 전 과정의 전자화

건설 산업의 당면 과제와 디지털 전환의 중요성

한국 건설산업은 복합적인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디지털 전환은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필수 전략이다.

  • 생산성 저하: 국내 건설산업의 노동생산성은 선진국 대비 70% 수준이며, 지난 20년간 34% 감소하여 타 산업 대비 정체가 심각하다.
  • 인력 문제: 청년 기술인 유입이 급감하고 기존 기능인력과 기술인이 고령화되면서 인력 부족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 안전 및 품질 문제: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형 재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기술 중심의 근본적인 안전관리 체계 혁신이 요구된다.
  • 디지털 성숙도 지연: 건설 분야는 타 산업에 비해 디지털 성숙도가 낮으며, 이는 글로벌 경쟁력 약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

핵심 요소기술

건설사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설계, 시공, 유지관리 전 단계에 걸쳐 다양한 요소기술이 적용된다.

기술 유형 주요 기술 설명
플랫폼 기술 BIM, 클라우드, 디지털트윈 건설 생애주기 정보의 통합, 데이터 공유 환경 제공
데이터 수집 기술 드론, IoT, 스마트센서, 3D 스캐너, CCTV 현장의 물리적 데이터를 디지털 정보로 수집
데이터 분석 기술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수집된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하여 예측 및 의사결정 지원
시각화 기술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MR(혼합현실) 분석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시각화하여 제공
생산 기술 건설로봇, 3D 프린팅, 자동화장비, OSC(탈현장건설) 시공 과정의 자동화, 무인화, 공장제작을 통해 생산성 및 안전성 향상
특화 기술 블록체인, RPA(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정보의 신뢰성 확보 및 반복적인 관리 업무 자동화

2. 국내외 스마트건설 추진 현황

국내 정책 동향

정부는 건설산업의 체질 개선을 위해 2018년부터 다양한 스마트건설 정책을 추진해왔다.

정책명 (연도) 주요 내용
스마트건설기술 로드맵 (2018) • 2030년 건설 자동화 완성 목표 제시<br>• BIM 확산 여건 조성 및 공공사업 단계적 의무화 확대
건축 BIM 활성화 로드맵 (2020) • 공공건축물 BIM 의무화 및 민간 설계 지원 확대
BIM 기반 디지털 전환 로드맵 (2021) • 2030년까지 전 분야 BIM 활용 및 설계 자동화율 100% 목표
스마트 건설 활성화 방안 (2022) • ‘2030년 건설 전 과정 디지털화·자동화’ 목표 재확인<br>• 2026년부터 500억 이상 공공공사 BIM 적용 의무화
제7차 건설기술진흥 기본계획 (2023) • "첨단기술 확산을 통해 다시 도약하는 건설산업" 비전 제시

국내 산업 현황

  • 대기업 중심의 기술 도입: 스마트건설기업지수(SCCI) 평가 결과, 삼성물산, 현대건설 등 대형 건설사들은 AA등급을 받으며 기술 도입을 선도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BIM, IoT, 드론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 역량 양극화: 대형 건설사와 중소 건설사 간의 기술 준비도와 역량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 SCCI 참여 기업 19개사의 평균 등급은 BBB로, 아직 전반적인 확산은 더딘 상황이다.
  • 주요 투자 기술: 현시점 최우선 투자 기술은 **BIM 및 디지털트윈(43.9%)**이며, 5년 후 중점 투자 기술로는 **AI 및 빅데이터(37.4%)**가 꼽혀,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건설로의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해외 선진국 동향

주요 선진국들은 국가 차원에서 스마트건설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 일본: 정부 주도의 **'i-Construction 2.0'**을 통해 2040년까지 건설현장 노동력을 30% 절감하기 위한 '자동화'를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
  • 싱가포르: IDD(Integrated Digital Delivery) 전략을 통해 BIM을 기반으로 건설 생애주기와 참여자를 통합하는 디지털 혁신을 지향한다.
  • 영국: 민관 협력을 통해 'Digital Built Britain' 전략을 추진하며, 2016년부터 공공사업에 BIM Level 2 적용을 의무화했다.
  • 미국: 상대적으로 민간이 주도하며, ASTM(미국재료시험협회)이 제시한 '건설산업 디지털화 로드맵'을 통해 3D 프린팅, 로보틱스 등 첨단기술 확산을 추진한다.

3. LH 스마트건설 추진 현황 및 요구분석

LH 추진 실적

LH는 주택건설사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스마트건설기술 도입을 시도하고 있다.

  • BIM: 적용지침과 도면작성 가이드를 정비하고 적용 대상을 확대하며 기반을 구축했다. AI 적용, 플랫폼 구축 등 기술 고도화를 추진 중이다.
  • 드론: '드론웍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건설 각 단계의 업무에 드론을 활용하고 있다.
  • OSC: OSC 로드맵에 따라 모듈러 및 PC(Precast Concrete) 공법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
  • 기타 기술: 현장 영상기록 확보를 위한 CCTV 설치 및 스마트 안전장비 도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내부 인식 및 역량 진단

스마트건설기술에 대한 LH 직원 및 현장 기술인의 인식 수준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항목 LH 직원 LH 현장 기술인
지식 수준 (5점 만점) 3.43점 3.04점
사용 경험 보유자 비율 20.8% 21.9%

이 결과는 기술에 대한 인지도는 어느 정도 형성되었으나, 실제 현장에서의 활용 경험은 매우 부족함을 시사한다. 이는 기술 도입의 실질적 성과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체계적인 교육과 현장 적용 지원이 시급함을 보여준다.

4. LH 주택건설사업 디지털 전환 전략 및 로드맵

비전 및 프레임워크

LH는 건설사업 디지털 전환을 통해 건설디지털혁신(CDX, Construction Digital Transformation) 달성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한 4개 차원의 프레임워크를 구성한다.

  • 건설디지털혁신(CDX) = 참여자(UX) + 기술(TX) + 적용대상(P) + 환경요소(IX)

이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비전과 미션을 설정한다.

  • 미션: 스마트건설 추진으로 건설사업 지속가능성 제고와 미래 혁신 선도
  • 비전: 스마트건설 생태계를 조성하고 디지털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

핵심가치 및 추진 전략

4대 핵심가치를 설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업무 혁신, 생산 혁신, 인프라 구축을 추진한다.

  • 스마트 첨단생산: 현장·인력 중심의 기존 방식을 탈피하는 스마트 생산 체계 구축.
  • 디지털 선진관리: 데이터 기반의 효율적이고 투명한 업무 관리 시스템 확립.
  • 함께하는 미래산업: 공공부문의 선도적 역할을 통해 건설산업의 미래 성장 견인.
  • 지속가능 인프라: 디지털 전환의 원활한 수행을 위한 제도, 인력, 조직 기반 마련.

플랫폼 구성

디지털 전환 전략의 실행을 위해 2개의 핵심 플랫폼을 구축한다.

  1. 디지털 LH 스마트건설 통합플랫폼:
    • 목표: 업무혁신
    • 기능: BIM, 드론, IoT 등 다양한 기술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하여 시공단계의 공정, 품질, 안전, 자재, 환경 관리 업무를 지원한다.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통해 업무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인다.
  2. 미래생산 플랫폼:
    • 목표: 생산혁신
    • 기능: OSC, 건설로봇, 자동화장비,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건설 생산방식을 혁신한다. 탈현장, 탈인력, 자동화, 무인화를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중장기 로드맵

업무 혁신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은 시공단계의 관리업무와 진행업무에 스마트건설기술을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최종적으로는 통합 플랫폼 기반의 지능형 업무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NotebookLM을 이용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디이씨(D.E.C)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디이씨(DEC) | 이정희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항동로 128, 924호 | 사업자 등록번호 : 220-10-09832 | TEL : 070-8657-2850 | Mail : martin@dec-w.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24-고양덕양구-2952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